-
-
우리는 여성, 건축가입니다
데스피나 스트라티가코스 지음, 김다은 옮김 / 눌와 / 2018년 11월
평점 :
여성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오랜 기간 지속되다 보니 역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다.여성 인권 운동의 공헌으로 제도권 내에서의 성차별은 20세기 중후반에 차차 폐지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문화적, 관습적으로는 차별이 법보다 훨씬 느리게 없어졌다.우리가 흔히 남성적 직업이라 여기는 건축업 쪽은 아무래도 성평등의 진전이 늦을 수밖에 없는데 책을 읽으면서 아직 멀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보면 여성의 역사를 다룬 책들이 더러 있다.그러나 이 책은 그런 책들처럼 여성 위인들의 활약을 정리해놓은 연대기가 아니다.여성 건축가인 저자와 저자가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물들에 대해 풍부하면서도 생생한 이야기를 전한다.
새로운 창이지만 또 그만큼 여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내에서 여성이 어떻게 다뤄지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특히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자서전 등 특출난 위인 개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의 영향으로 공동 작업자/협력자로서의 여성이 충분히 평가 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무엇보다 편집자 중 여성의 비율이 낮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놓치지 않는다.
평등이 충분하니 이제 실력주의면 된다던가, 개인의 중요성만을 강조하여 팀의 역할과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다던가, 건축 쪽으로 여성들이 직업을 선택하지 않으니(혹은 결혼, 임신 등으로 퇴직하니) 그녀들의 책임이고 나는 모르겠다는 식의 이야기들이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다.그러나 이상적인 사회가 아닌 현실 사회는 실력 이외에 문화와 관습도 인사, 승진, 급여에 영향을 준다.또한 개인주의도 한계와 보완이 필요한 개념이고, 어떤 부분에서건 특정 성이 소외되고 있다면 챙겨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