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람된 표현이지만 기레기라는 말이 유행이다.질이 나쁜 기사를 쓰는 기자들에 대한 멸칭인데 이런 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언론에 대한 신뢰가 많이 떨어진다.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심각한 수준이다.기자들이 진실을 추구하기보다 다른 목적을 가지고 교묘하게 이야기를 한다는 비판이 많다.이런 문제는 이탈리아라고 예외가 아닌 모양이다.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이탈리아도 굴곡이 많은 나라다.역시 많은 도시국가로 갈려지고 외세에 지배를 받았으며 파시즘의 시기도 거쳤다.또한 그 이후에도 부패한 통치자로 인해 민주주의의 진전은 더뎠다.그러다 보니 정부와 언론에 대한 불신이 이 책에도 많이 담겨있다.이 책의 저자인 움베르토 에코는 기호학 분야의 권위자임은 물론이고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그러면서 사회비평문도 무수히 썼다.학문, 문학, 사회참여를 망라하는 지성인이다.그런 에코는 언론에 대해 어떤 쓴소리를 했을까.

 

소설이다보니 책에 대해서 쓰는데 책의 결말은 숨겨야 하는 모순을 맞닥뜨린다.내 나름대로 최종적인 결말은 이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하겠다.

 

책은 언론인이라고 칭하기도 부끄러운, 애당초 묵묵하게 진실을 찾아내는 목표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집단들이 주조연을 맡고 있다.돈 때문에 대필을 맡은 사람과 순수한 마음으로 들어왔지만 점차 물 들어가는 여자, 회의주의에 기대 진실을 찾으려다 돌연사하는 사람의 이야기다.

 

보통 이런 주제의 스토리는 순수하고 열정적인 기자가 권력의 억압과 위협에 맞서 취재를 해나가고 진실을 밝혀서 정의를 향해 나아가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백옥(?) 같은 주인공은 처음부터 없다.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 현실적이고 생생하다.무솔리니라는 독재자의 최후를 둘러싼 이야기들은 이탈리아의 험난한 현대사를 잘 보여준다.

 

"패배자는 독학자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승리자보다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만약 우리가 승리하고자 한다면, 그저 한 가지만 잘 알아야지 무엇이든 다 알겠다고 시간을 허비해선 안 된다.박학다식하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지만, 그건 패배자들이 겪는 업보이다.어떤 사람의 지식이 늘면 늘수록 그에게는 잘못 돌아가는 일들도 자꾸 늘어간다는 것이다."(24~25페이지)

"끔찍한 일을 겪은 사람들은 그 일을 묘사할 때 과장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자네 아버지는 그런 점을 고려하지 않은 거야.자네가 고속 도로 교통사고를 목격하고 시신들이 피의 호수에 잠겨 있었다고 말할 수 있어.그건 피가 코모 호수처럼 넓게 고여 있다는 뜻이 아니라, 그저 피가 많았다는 사실을 알려 주려고 하는 말이야.어떤 사람이 자기가 살아오면서 겪은 가장 비극적인 사건을 회상할 때는 자네도 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해 봐."(60~61페이지)

"내가 언제부터 진짜 실패자가 되었는지 아나?나 스스로 실패자라고 생각하기 시작한 그때부터였네.그 생각을 곱씹으며 시간을 허비하지 않았더라면, 인생이라는 게임의 여러 판 가운데 적어도 한 판은 승리했을 거야."(124페이지)

"이보게 어린 친구, 저건 윤전기 돌아가는 소리야.자넨 이 일과 관련해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아무것도 할 수가 없지!"(198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