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가 노벨상을 낳는다

미국은 기부가 하나의 일상적 삶이고 기업은 기부를 소비가 아닌 투자의 개념으로 인식하는데, 이렇게하려면 우리 또한 그동안의 반기업적 규제를 풀고 노사 화합을 통한 반기업 정서 탈피를 위해 매진해야 한다. 미국에 노벨상이 많은 이유 중 하나는 공익단체들의 기부금이 각종 연구를 지원하고, 봉사단체 후원금이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기득권의 나라에서 기회의나라로 가기 위해서는 기부와 배려가 일상화되는 사회적 기틀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부에 인색한 이유 중 하나인 ‘기부금이 제대로 사용되는지‘에 대한 기부자의 의심을 불식시키는 국가의 역할이 필요하다.
미국은 소득금액의 50% 한도 내에서 기부금을 소득공제하고 있다. 영국은 기부액의 20~45%를 소득공제하고 있다. 일본도 2000인을 초과할 경우 소득의 40% 내에서 소득공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기부금 세액공제 한도 내에서 기부금의 종류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리 적용되는데, 정치에 관련된 기부와 이웃돕기에 사용된 기부금이공제율이 높다.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뢰란 호의에 대한 기대다. 누가 호의를 건넬 건가.

신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타인의 미래 행동이 자신에게 호의적일 것이라는 기대와 믿음‘
을 의미한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 로버트 퍼트넘 (Robert Putnam)은 신뢰란 한 사회를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인 사회적 자본이라고했다.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프랜시스 후쿠야마 (Francis Fukuyama)는 신뢰가 낮은 나라는 큰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OECD 사회 신뢰도에 따르면 한국은 저신뢰국에 속한다. ‘믿을 사람이 없다(OECD 35개국 조사국 중 23위), 사법 시스템도 못 믿겠다‘(34개국 중 33위), ‘정부도 못 믿겠다‘ (35개국 중 29위)라는 답을 보면우울하다. ‘미래에 대한 심각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대해 한국의 청년 응답자 약 8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경제성장, 구조개혁, 선순환 체제로의 전환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신뢰가 중요하다. 여기에는 국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기본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왜 정부당국에 신뢰의 기본인 예측 가능성, 지속 가능성, 공정성 등 모든 점에서 바닥에 가까운 점수를 매길까. 협력과 동업 대신 무한경쟁 속에서 각자 제 살길을 찾는 식의
‘각자도생‘이 팽배해서가 아닐까.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햄버거는 인류가 갈구하는 영양분들만을 조합해 만든 가장 진화된 식품이다. 건강에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입맛에 끌리도록 진화했을 뿐.

사람은 정제된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질을 갈구한다. 사람에게 항상 부족한 영양분이 단백질과 지방질 성분이었으니이를 열심히 찾고 좋아하도록 우리 입맛이 진화해 왔다. 그래서 이런 성분들이 적당히 어우러진 음식을 특별히 더 맛있게느끼는 것이다. 지방질이 적당히 섞인 고기에 지방질이 더 풍부한 치즈를 얹고, 정제된 탄수화물로 된 브리오슈 빵을 얹은햄버거는 그래서 맛있다. 햄버거의 인기에 힘입어 맥도날드와 같은 회사들은 굴지의 다국적 기업이 되었다.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식 #장수 #건강 #설탕 #노화


"적게 먹는 것이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를 줄이고, 그래서우리가 오래 살 수 있게 하는 건 틀림없어요. 저도 건강을 위해서 적게 먹으려고 시도해 봤지만, 배고픈 것은 정말참기 힘들더군요. 그 대신 설탕 같은 것은 피하려고 합니다.
설탕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잖아요. 꼬마선충을 가지고실험하는데, 꼬마선충 먹이에다가 설탕을 조금 뿌리면이것들이 진짜 빨리 늙어 죽거든요. 커피 마시는데 무심코 타는 설탕, 저는 그런 것 안 해요." - P2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이상이 생기면 생기는 일들

#제1형당뇨병 #인슐린

인슐린 수용체가 인슐린을 감지했을 때 세포들에게 내리는 명령.

혈액에 포도당이 많으니 때를 놓치지 말고 지금 이를가급적 많이 흡수하라. 그리고 이 에너지를 이용해서,
단백질을 더 많이 만들고 세포를 더 크게 성장시키고분열하라. 먹을 것이 충분치 않을 상황에 대비해서,
포도당이 있는 동안 가급적 영양분을 많이 저장하라.
필요하다면 지방질이라도 더 만들어서 지금 충분한포도당을 몸속에 저장하라.

먹을 것이 충분한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이같이 영양분을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개체들은 진화 과정에서 도태되었을 것이다. 반대로 인슐린 신호전달이 아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개체들은 곧이어 조금 배고픈 시기가 오더라도 저장된 영양분으로 살아남았을 것이다. 뒤이어 배고픈 시기가 다시 찾아오면, 인슐린 분비량이 적어지고 몸을 이루는 세포들은 성장을 억제하며 단백질을 덜 합성하는 대신 지방질을 분해해 영양분을 공급할 것을 주문한다. 먹을 것이 부족한 상황
에 대한 적응인 것이다.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그 몸 의 세포들은 체내 영양분이 적다고 착각하게 된다. 그래서 세 포는 포도당 흡수를 하지 않게 되니, 일단 에너지 부족에 시 달리게 된다. 인슐린이 없는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이 때문 에 몸이 바짝 마른다. 그러다가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여러가 지 세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 건강을 유지하거나 살아 가는 데 필수적인 세포들이 작동을 못하게 되면 죽음의 문턱 에 이른다. -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