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 읽기 시크릿, 인간심리 36 - 말하는 걸 믿지 말고 ‘행동하는 걸 믿어라!’
이영직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25년 5월
평점 :
📌 서평 한마디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강이든 바다든 그 시퍼런 물속은 어떠한 도구나 방법을 이용해서라도 그 깊이와 넓이를 측량할 수 있으나, 사람의 이랬다저랬다 하는 마음과 결정장애로 결단 못 하는 그 심리를 어느 누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다면 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믿지 말고 그 사람의 행동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은 인간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데이터 통계 자료를 통해 비밀스럽고도 신비한 이야기로 내가 아닌 세상 모든 이의 마음속을 세밀히 들여다볼 수 있다는 사실에 우리로 하여금 “아하! 그래서 그랬구나!”라는 깨달음의 밝은 빛으로의 안내서이다.
예를 들어 책 속의 한 내용을 발췌해 본다.
이탈리아의 한 교수가 “여기 고위 공직에 출마한 세 사람의 후보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누구를 선택하겠습니까?”라고 가상의 설문을 던졌다.
< 여러분도 A, B, C 후보 중 한 사람을 선택해 보세요 >
- A 후보
젊어서부터 술, 담배, 마약을 했던 불량소년이었다. 숨겨둔 여자와 자식이 있었다. 나중에는 다리가 불편해서 휠체어에 의존해야 했다.
- B 후보
어려서부터 말썽꾸러기 학생이었고, 낙제생이었으며, 사관학교도 3수 만에 들어갔다. 줄담배를 피우고 술고래였으며, 괴팍한 성격이어서 사람들이 가까이하기를 꺼렸다.
- C 후보
독실한 신자였고 금욕주의자, 채식주의자였다. 술과 담배는 입에도 대지 않으며, 애국심이 강해서 전쟁에 나가 훈장을 받기도 했다.
누가 고위 공직자 후보로 적합한가요?
설문 결과는 C 후보가 압도적으로 지지를 받았다.
A는 루스벨트, B는 처칠, C는 히틀러였다.
이렇듯 우리의 뇌는 정형화되어 있으며 그 질문 속 의도와 숨겨진 진실에서 단서를 찾지 못하고 섣불리 판단한다.
인간의 뇌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흔한 말로 세상 모든 만물이 눈 앞에 펼쳐져 있어도 인간은 보이는 만큼만 보게되고 아는 만큼만 말한다. 그런데 아는 만큼 말하는 과정 중 잘못 입력된 정보로 말하기도 하고 때론 거짓으로도 말하며, 심지어는 말을 안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사람의 뇌는 무질서하게 보이는 혼돈 상태에서도 논리적 법칙이 존재한다는 이론의 <카오스 이론>으로 무질서와 혼돈이 공존한다
세상은 100% 진리는 없다. (하나님의 말씀 외에)
과학적 증명 또한 명쾌하게 답을 내리지 못한다. 그러나 조심스럽게 말한다. 사람의 행동을 보면 그 사람의 심리를 알 수 있고 반복되어 지는 행동의 패턴 속 수학 공식과 같은 정답있다는 사실을 이 책에서는 소개를 한다.
책은 한번 읽고 두 번 읽어야 저자의 의도를 알 수 있다.
지난 한 주간 책과 씨름했다. <나에게 너무 어려운 스몰 토크> 책을 읽으며 “아! 나에게도 자폐성 스펙트럼이 있구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사람 읽기 시크릿 –인간심리 36->을 읽으며 다시 한번 인간의 심리의 관계에 관하여 깊이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한 주간 이었다.
오늘도 다시 한번 Secret Book을 꺼내 읽으며 알 수 없는 세상속으로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