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4 - 남북국 시대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4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이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4를 읽고 남북국시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차! 남북국시대는 통일신라시대인 것을 알고 있어요? 알고 있어야 되여! 

아기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종(성덕대왕신종) : 신라 35대 경덕와(재위 742~765)이 다스리던 시절, 경덕왕은 아버지인 성덕왕을 기리기위해 커다란 종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전국의 스님들에게 종을 만드는 데 필요한 쇠붙이를 모으게 해서 종을 만들었지만, 이상하게도 소리가 울리지 않았습니다. 

나는 이제 6학년이 되는데, 5학년 사회에서는 성덕대왕 신종을 배웠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성덕대왕신종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왜 소리가 울리지 않았는것은 나도 잘 모른다. 알아보기로 하자. 

결국 경덕왕은 종이 완선되기도 전에 죽었고, 혜공왕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종을 만들었습니다. 혜공왕은 "아기를 넣고 종을 만들면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을 만들 수 있다." 는 이야기를 듣고는 가난하여 쇠붙이를 내놓지 못한 집의 아기를 바치도록 했습니다. 결국 아기는 펄펄 끓는 쇳물에 넣어져 종이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종은 아름다운 소리를 내었지만, 아기가 엄마를 부르듯이 '에밀레~' 하는 소리가 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성덕대왕신종은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종을 아기를 넣고 만들었다고! 신기하군, 그런데 혜공왕이 누구일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혜공왕 : 신라의 제 36대 왕(재위 765~780)으로 본명은 김건운()이다. 경덕왕의 큰 아들로 어머니는 서불한() 의충()의 딸 만월부인(滿) 김씨()이다. 경덕왕 사후 8세에 즉위하여 태후()가 섭정하였다. 768년 당나라 대종()으로부터 신라왕에 책봉되었다.

태후의 섭정 기간 동안 경덕왕 대의 전제주의()를 기반으로 한 왕당파는 당()과의 관계 속에서 전제왕권을 강화하려 하였으나, 이미 세력을 구축한 김옹(), 김양상() 등의 귀족세력이 이에 반발하였다. 이들 두 세력의 대립은 여러 차례의 반란을 통해 나타났다. 768년 일길찬() 대공()의 모반을 비롯하여, 770년 대아찬() 김융()이 모반을 일으켰으며, 775년 이찬() 김은거()가 모반을 일으켰다.

전제왕권을 지지한 왕당파와 반전제주의()를 지지한 귀족세력 간의 갈등은 혜공왕대에 계속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급기야 혜공왕이 살해된다. 780년 이찬 김지정()이 반란을 일으키자 상대등() 김양상()으로 하여금 이를 진압하게 하였으나, 난군()에 의해 왕과 왕비가 피살되었다. 혜공왕의 죽음으로 신라는 귀족에 의한 정치가 이루어지는 하대()로 접어들게 된다. 한편 혜공왕 재위 기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고 흉년이 들어 민심이 흉흉하였으며, 왕은 사치와 음탕한 생활을 일삼아 궁중의 기강을 문란하게 하였다.



나는 이 책을 읽고 혜공왕을 알았고, 내가 알고 있던 성덕대왕신종이 나와서 이해가 더 잘 갔지만, 내가 모르는 사실까지 나와서 더 잘되었다고 생각한다. 한국사가 사회의 기초인것 같다. 그래서 나는 이런 책들을 더욱 더 열심히 읽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3 - 삼국 시대 -하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3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이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3을 읽고 이 책에 대한 것을 알아보려고합니다.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다! 왜일까? 알아보도록 하자. 

화랑도의 세속오계 중 '교우이신'을 직접 보여 준 화랑이 있습니다. 열다섯 살에 이사부와 함께 대가야 정벌에 나서 큰 공을 세워썬 사다함입니다. 사다함과 그를 따르는 낭도 천 명은 충성심과 우정으로 똘똘 뭉쳐 승리를 이끌어 냈습니다. 사다함은 낭도를 중에서 특히 무관과 깊은 우정을 맺고 죽음도 함께 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나같았어도 아무리 친하다고 죽음도 함께 하자고는 안했을 것이다. 당연하게도 자기 목숨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관과 사다함이 그렇게 친했었나? 

전쟁터 에서 늘 사다함의 곁을 지키던 무관은 어느 날 전쟁터에서 돌아온 뒤 병으로 죽고 말았습니다. 죽기 전에 무관은 사다함에게 자기 몫까지 살아서 나랏일에 힘써 달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사다함은 7일 동안 슬피 울다 결국 죽고 말았습니다. 

아하! 그래서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구나! 그런데 사다함이 누구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다함 : 성 김(). 내물왕의 7대손. 급찬() 구리지()의 아들. 화랑으로 추대되어 1,000여 낭도()를 거느렸다. 562년(진흥왕 23) 이사부()가 가야국()을 정벌할 때, 15세로서 귀당비장()으로 출정하여 전단량(旃)으로 쳐들어가 멸망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밭과 포로 가야인 300명을 상으로 받았으나, 밭은 병사에게 나눠주고 포로는 모두 풀어 주었다. 어릴 때 무관랑()과 우정을 맺어 죽음을 같이 하기로 했는데, 무관랑이 병사하자 7일 동안 통곡하다가 죽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사다함이 누구인지 알아내었고,왜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지도 알아서 너무기쁘다. 모두 한국사는 많이 읽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숨에 깨치는 과학상식 5 - 알짜배기 상식만화, 과학실험편 단숨에 깨치는 5
김석천 글 그림, 박득현 감수 / 웅진주니어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안녕하세요. 저는 이 단숨에 깨치는 과학상식5에서 나오는 입을 대지 않고 풍선을 불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이 실험을 공부방에서 했기 때문에 더욱 이해가 갔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대화글로 고고! 

팽구 : 아니라니까! 

딩동 : 맞아! 네가 너무 세게 쳐서 그래! 

부시 : 왜 그래? 

딩동 : 펭구가 너무 세게 쳐서 탁구공이 찌그러졌어! 

팽구 : 나 때문이 아니야! 

부시 : 별걸 가지고 다 싸우네. 공을 다시 펴면 되잖아. 내가 조금 전에 한 실험을 응용하면 돼. 플라스크를 1시간 정도 냉장고에 뒀다가 꺼내면 그동안 낮아진 기압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게 되지. 그 병에 늘어나기 쉽게 만든 풍선을 끼운 다음에 더운 물로 대우면 돼. 

딩동 :  그럼 어떻게 되는 거야? 

부시 : 풍선이 부풀어 오르지. 왜냐하면 병 속의 더운 공기가 데워지면서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야. 그러니까 이 찌그러진 탁구공도 뜨거운 물 속에 넣으면 펴진다, 이말씀이야. 

이 책에 나오는 부시는 꽤 똑똑한 것 같다. 그럼 본격적으로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공기의 부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기의 부피 팽창을 이용하면 입을 안 대고도 풍선을 불 수 있다. 공기는 기온이 내려가면 운동량이 줄어 부피가 줄고,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기압도 내려가게 된다. 그래서 냉장고에 넣어 두었던 플라스크를 꺼내면 외부 기압과 맞추기 위해 순식간에 많은 공기가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 병을 다시 따뜻한 물로 데우면 공기가 팽창하면서 기압이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풍선이 부풀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탁구공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탁구공 안에 있는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여 공이 펴진다. 

나느 이 책을읽고 탁구공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탁구공 안에 있는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여 공이 펴지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왜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냐면 병 속의 더운 공기가 데워지면서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나는 책을 많이 읽어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2 - 삼국 시대 상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2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저는 이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2책을 읽고 신라에 있던 오릉의 비밀과 죽은 사람을 위한 금관을 알아보도록 할 것입니다. 과연 신라 오릉이 박혁거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지는지 고고! 

오릉의 비밀 :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는 5개의 무덤이 모여 있습니다. 누구의 무덤일까요? 이 무덤들에는 박혁거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 무덤들을 뱀 무덤이라는 뜻으로 '사릉' 혹은 다섯 개의 무덤이라는 뜻으로 '오릉'이라고 부릅니다. 정말     <<삼국유사>>의 신화처럼 큰 뱀이 쫓아와서 박혁거세의 무덤을 다섯 개로 만든 것일까요? 

나는 경주에 안가봐서 몰랐는데 오릉이 사릉이라고도 불리는 것을 알아냈고,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5개의 박혁거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 오릉의 내용을 알아서 기쁘다. 

죽은 뒤 하늘로 올라간다거나 큰 뱀이 나타나는 등 박혁거세의 죽음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매우 특별합니다. 왕의 죽음이 이렇게 남다른 것은 왕의 탄생이나 건국 이야기처럼 왕의 특별함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릉은 실제로는 신라의 첫 임금인 박혁거세, 박혁거세의 아내인 알영부인, 제 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 등 모두 다섯 명의 무덤이라고 합니다. 

아하!  오릉은 실제로는 신라의 첫 임금인 박혁거세, 박혁거세의 아내인 알영부인, 제 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 등 모두 다섯 명의 무덤이라고 했었구나! 그러면 그 다음은 죽은 사람을 위한 금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라의 고분에서는 금으로 만든 신발, 팔찌 등 금으로 만든 물건들이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금관의 솜씨는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 당시 신라의 금속 공예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신라의 금관은 보통 금테 위에 나뭇가지나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있습니다. 여기에 반달 모양의 옥과 얇은 쇠붙이를 둥글게 만든 달개를 달고, 두 귀의 앞쪽에는 귀걸이 모양의 장식을 달아 화려하게 꾸몄습니다. 금관은 매우 아름답지만 무겁고 부숴지기 쉬워서, 평소에 쓰는 것이 아니라 왕이나 귀족들이 죽어 무덤에 묻을 때 넣어 준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오릉에 다섯 개의 무덤이 있고, 무덤안에는 박혁거세, 알영, 남해왕, 유리왕, 파사왕 등 다섯 명이 있는 것을 알았고, 금관은 매우 아름답지만 무겁고 부숴지기 쉬워서, 평소에 쓰는 것이 아니라 왕이나 귀족들이 죽어 무덤에 묻을 때 넣어 주 것으로 생각되는 것을 알아서 기쁘다. 나중에 나는 한국사를 꼭 마스터할 것이다. MAST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꽁이 서당 7 - 조선시대 정조편 맹꽁이 서당 7
윤승운 글,그림 / 웅진주니어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이 맹꽁이서당7을 읽고 문체반정과 이주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데체 문체반정과 이주국은 무엇일까? 알아봅시다 

문체반정 : 조선 시대 정조가 나라를 다스릴 무렵 <열하일기>를 쓴 박지원 등의 문장이 크게 유명했습니다. 정조는 이러한 문체를 잡문체라 칭하며 금하고 정통적인 문장을 모범으로 삼게 했습니다. 이러한 무체의 유행을 막기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고 패관소설, 잡서 등 청나라의 책을 수입금지시켰습니다. 또한 주자의 시와 등 중국의 고전을 간행하고 장려했습니다. 이 일로 왕권과 조정이 문학과 문인들의 창작에 적극 간섭하여 왕성하던 문학 활동이 수그러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하! 나는 문체반정의 문 자도 모르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쓰니까 막상 기억이 난다. 그래서 정조는 이러한 문체를 잡문체라 칭하며 금하고 정통적인 문장을 모범으로 삼게 하고, 또 이러한 문체의 유행을 막기 위해서는 규장각을 설치하고 패관소설, 잡서, 등 청나라이 책을 수입을 금지시켰다니!!!!! 암튼 다음은 이주국이라는 사람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주국(李柱國)에 대하여


1720년(숙종 46)∼1798년(정조 22).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언(君彦), 호는 오백(梧栢). 정종의 서자인 덕천군(德泉君)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적(滴)이며, 어머니는 증찬성 구상정(具尙禎)의 딸이다.

1740년(영조 16)무과에 급제, 이듬해 선전관에 임명된 뒤 훈련원주부·판관 등을 지냈다.

1748년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갔다온 뒤 호조좌랑에 임명되니 이때 처음 호조에 무랑(武郞)이 설치되었다.

1754년 충청도수군절제사가 되고, 이듬해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1759년 함경북도절도사가 되었다.

1762년 장헌세자(莊獻世子)장례 때 여사대장(輿士大將)을 역임하고, 1773년 황해도·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이때 남당(南塘)에 성을 쌓는데 모두가 흙으로 쌓자고 하였으나, 남당은 땅이 습지보다 낮으므로 돌로 쌓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776년 총융사에 임명되었으며, 이해에 영조의 장례식이 있었는데 훈련원도정으로 여사대장이 되었다.

그러나 여사군이 소란을 피워 기율을 바로잡지 못한 죄로 파직되고, 다시 총융사에 보직되었으나 군량미를 비축하지 못한 죄로 파직되었다. 곧 복직되어 1778년(정조 2)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고, 1780년에는 어영대장을 거쳐, 이듬해 좌·우포도대장을 역임하였다.

1782년 북한평창(北漢平倉)의 군량미보관 소홀로 총융사에서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96년 훈련대장을 사직하면서 군제삼사(軍制三事)를 올렸는데, 그 내용은 첫째 번상(番上)으로 인한 경비의 낭비와 폐단을 고려하여 어영청·금위영의 군자(軍資)로써 경사지민(京師之民)을 모병하여 충원할 것, 둘째 궁궐순찰을 위하여 50칸에 1군포(軍鋪), 1군포에 군 4인을 두어 수직(守直)할 것, 셋째 수군·육군의 지역배치를 고려할 것 등이다.

용모는 건장하고 뛰어났으며, 성품은 강직하여 권세 있고 부귀한 자에게 아첨하지 않아서 명망이 있었으나 남과 반목한 때가 많았고, 여러 번 문신의 횡포를 감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홍국영(洪國榮)이 실세한 뒤 정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성도·궁성 호위의 임무가 주어졌다. 춘당대(春塘臺)에서 활쏘기할 때의 모습이 추운 겨울철에도 잎이 푸른 소나무와 측백나무 같다고 하여 정조가 오백이라는 당호를 하사하였다. 시호는 무숙(武肅)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몰랐던 것을 책을 읽고 꼼꼼히 알아내어서 기쁘다. 그리고 이 맹꽁이 서당이 꽤 좋은 것 같기도 하다. 나중에도 나는 책을 더욱 더 많이 읽어서 꼭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