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 - 생김새의 생물학
모토카와 다쓰오 지음, 장경환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모든 생물은 왜 다르게 생겼을까?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는 제목처럼 이 생물들이 왜 그렇게 생겼는지를 소개하는 책이다. 아무리 작고 사소해 보일지라도 모든 생명체가 그렇게 생긴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교훈을 준다.
다만 일본 저자의 번역본이고 또 생물학 자체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지식이 전무한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자포동물, 절지동물, 극피동물과 같은 기본적인 단어의 해석이 되지 않으니 좀 더 디테일한 내용의 이해를 요하는 본문도 상당히 까다롭게 느껴졌다.
본문의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진 못했지만 생물이 살아가는 방식의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무엇 하나 허투루 만들어진 것이 없고, 이유 없이 낭비하는 것이 없다. 공생하는 산호와 갈충조의 관계, 꽃잎의 잎이 5개인 이유, 물고기에게는 목이 없는 이유 등 지금껏 왜? 라는 질문을 하지 않았던 자연의 신비를 깨달을 수 있다.
동물은 크게 34문(문이란 강의 위, 계의 아래인 생물 분류 단위의 하나)으로 나뉘는데 이 책에서는 대표적인 5개의 문을 소개한다. 생물의 분류 기준조차 몰랐던 사람들에게는 아주 유익한 지식서가 된다. 책의 제목 덕분에 임팩트가 큰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 중 성게와 불가사리는 극피동물, 메뚜기는 절지동물에 속한다.
극피동물은 약 7000여개의 개체가 속해있으며 다른 동물문과 쉽게 분간되는데 특히 별 모양의 몸은 매우 독특하고 아름답다(p153). 이들은 별 모양의 형태를 하며 무수히 많은 관족과 껍데기가 눈에 띈다.
뇌도, 심장도, 혈관도, 폐도 없는 극피동물은 인간의 기준에선 상상할 수 없다. 해삼은 반으로 나누면 두 마리가 되며, 팔 하나에서 나머지 팔 모두를 재생하는 불가사리(p245)와 같은 극피동물은 중심이 되는 기관이 존재하는 않는 것이 특징이다. 저자는 이들을 ‘지방분권형 체제’로 표현한다.
성게의 가시는 밤송이의 것과 달리 껍데기 사이가 관절로 되어있어 움직이며 360도 어느 방향으로든 쓰러트릴 수 있다(p212). 성게의 껍데기는 인간의 두개골과 똑같이 만들어 졌다는 점도 특색 있다.
만져보았을 때 돌처럼 단단했던 불가사리가 부드럽게 변형한다는 사실도 신기했다. 몸이 관절 투성이라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다니! 내가 알지 못한 불가사리의 재발견이었다. 식물에게만 있다 여겨진 사포닌의 독성을 가졌으며 좌우대칭이 아닌 별모양으로 생긴 불가사리의 알려지지 않은 다른 비밀이 더 알고 싶다면 극피동물문을 정독하길 바란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동물 찬가 일곱 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저자가 대학에서 강의를 할 때 실제 수업시간 끝마다 불렀다고 한다. 생물학의 거리감을 좁히려는 저자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각 장을 읽을 때마다 전 장의 내용이 흐릿했는데 동물 찬가는 말 그대로 기억해야 할 핵심을 가사로 담고 있어 요약도 되고 지난 내용도 상기할 수 있어 좋았다.
분명 쉬운 책은 아니다. 성게? 먹는 거! 메뚜기? 메뚜기 떼! 불가사리? 바다에 사는 거! 딱 이정도 지식만 있는 나에게는 조금 하드한 난이도였지만 지금껏 알지 못했던 분야에 새롭게 눈을 뜬 느낌이다. 사실 우리가 전공자도 아니고 내용의 디테일을 일일이 기억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고 싶은 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것, 이것만 깨닫더라도 충분히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생물은 왜 이렇게 생겼을까? 어떻게 이런 환경에서도 살 수 있을까? 가끔씩 의문만 가지고 답을 알지 못했던, 생물학과 담 쌓고 지낸 문과생들에게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