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선비의 서재에 들다 - 고전에서 찾아낸 뜻밖의 옛 이야기
배한철 지음 / 생각정거장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록이 기록하지 않은 또 다른 이야기를 찾아서

 

실록은 정사, 그 이외의 것은 야사라고 한다. 실록에 기록된 역사가 아니면 그 진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설을 할 때 이런 말도 있다는 카터라 정도로 언급을 한다. 하지만 실록은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객관적인 역사란 존재할 수 없으며 한 인물의 일생에 대한 평가이기에 기록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배재될 수 없다. 또한 수정실록이란 것이 있을 만큼 역사는 승자의 관점에서 쓰인다. 공식적인 기록인 실록이 아닌 개인이 저술한 책은 주관적이지만 실록이 차마 담지 못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넣을 수 있다. 지금 이 시대도 공식 보도 자료와 여론이 상이한데, 수 백 년 전에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았을 거다. 배한철 기자의 <역사, 선비의 서재의 들다>는 실록이 기록하지 않은 또 다른 역사를 재밌게 풀어낸다. 정사에서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엿보고 싶다면 당장 펼쳐보길 바란다.

 

성군으로 알려졌지만 미복잠행과 술을 즐기며, 열수 앞을 내다봐 증손녀의 사윗감을 골랐던 세종. 스스로 빨래를 할 만큼 검소했던 헌종. 금욕주의자였던 문종. 우리가 상상했던 위엄 있는 왕의 모습과는 조금 다른 지존의 삶은 임금도 사람이었다는 걸 느끼게 한다.

 

정조가 오래 살았더라면 조선은 달라졌을까 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매우 흥미로웠다. 우리가 생각하는 정조는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 정조가 어떤 사상을 가진 사람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그리 깊게 생각해본 적 없는데 성리학의 이념을 고수한 보수적인 사람이라는 평은 조금은 충격이었다. 우리에게 있어 정조는 굉장히 혁신적이며 개혁적인 측면이 더 많이 부각되기 때문이다. 저자가 말한 정조가 진실이라면 이미 기울어진 조선의 국운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 않나 싶다. 역사에는 만약이 없지만 그나마 우리의 체제를 개편하고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 수 있는 시기로 손꼽는 때가 정조 때였는데, 조금은 씁쓸한 뒷맛이 남는다.

 

어떤 부분에서는 우리 역사가 자랑스러울 때가 있다. 하지만 무엇 때문인지 기술의 풍요는 너무 늦게 찾아왔다. 기술직을 천시하던 풍토는 바늘조차 없는 후퇴한 국가가 되었고, 백의민족의 이면을 알게 되니 더 이상 긍정적인 어감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던 그 시대의 선비들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 답답할 노릇이다.

 

사관의 입장에서는 너무 사소하거나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거나 혹은 불리하게 느껴지는 내용은 공식적인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48권의 고전 속에서 찾아낸 역사는 이해타산을 떠나 저자가 보고 듣고 느낀 것에 대해 서술을 하여 더욱더 생생하게 그 시대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 수 있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위인들의 일화, 여인들의 고달픈 삶, 조선의 다양한 문화, 외국인의 눈으로 본 조선 등 다양한 주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본다. 내가 알지 못했던 또 다른 역사를 알고 싶다면 <역사, 선비의 서재에 들다>를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