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섬 - 상 - 멸망의 얼굴
배상열 지음 / 황금책방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배상렬 작가의 [고구려 섬]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은 딱하나 고구려와 백제, 신라, , 그리고 당나라와의 전투와 시대적으로 각 나라들에 대해 잘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보통 다른 역사책을 보면 하나의 나라만을 정해서 그 나라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이루어지든지 아니면 주인공을 따로 정해놓고 그 주인공을 토대로 내용이 전개 되는데 이 책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었다. 고구려 입장에서의 상황과 실권주에 관한 전력 작전, 당의 상황과 그들의 생각을 묘사하고 있는 저자, 신라의 생각을 빌려 이야기의 흐름을 잡아주는 매력, 그리고 백제의 멸망으로 점점 다가오는 삼국통일의 길, 부족한 점을 뒷 받침해주는 왜와 백제의 이야기들이 재미를 더 했다.

책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대부분 아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모두가 드라마의 영향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고 보면 백제의 계백장군, 고구려의 연계소문, 신라의 선덕여왕이 모두 합쳐진 역사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내용 또한 드라마와 거의 유사하다. 물론 나는 고구려, 백제, 신라신록을 함께 읽었기에 저자의 상상이 어디까지고 진실이 어디까지인지는 금방 알 수 있었다. 역사에 거의 어긋나지 않으면서 가상의 인물을 넣고 소설에 맞게 사랑이라는 로맨틱도 등장한다.

내용은 그다지 지루하지가 않았다. 드라마에서 알던 사건이나 전쟁, 멸망 등에 대해서는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책에서의 그 내용은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그러나 한 가지 의문이 드는 점이 있다. 책 제목을 살펴보면 분명히 고구려의 섬이 나온다. 그렇다면 독도를 말하는 것인데 그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상세한 내용은 담겨져 있지 않다. 독도에 대한 호기심과 고구려와의 관계를 궁금해 하는 독자로서는 반감이 서는 부분이었다.

한반도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땅의 크기가 어마어마 하지만 지금 현재 가장 이슈가 되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생각과 우리의 생각이 자꾸만 어긋나고 있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독도는 분명 한반도의 땅, 우리의 땅이다. 책속에서 연개소문의 서자와 신녀가 독도에 대한 신물들에 대해 잠시 언급했던 그 내용을 좀더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