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황소
션 케니프 지음, 최재천.이선아 옮김 / 살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꿈꾸는 황소]는 어느 농장에 기거하는 황소의 생각과 그의 생활들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인간이 아닌 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의 생각을 읽을 수 없으며 자신의 생각을 인간이 알아주기란 참으로 힘든 일이다. 유일하게 생각할 줄 아는 에트르(주인공 황소의 이름)는 다른 황소와는 다르다. 탈출을 해 보기도 하고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 보기를 원하며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은 다 허사라는 것을 이내 알아낸다.

 

어느 도축장이 자유를 주는 곳이라고 생각했던 에트르를 포함해 모든 소들은 그렇게만 생각해 왔다. 한번 들어가면 나오지 않은 현실이 그 증거라고 믿는 것이다. 과연 그곳이 자유를 주고 행복을 주는 곳이라면 마다하지 않겠지만 에트르는 그곳에서 도축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는다.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먹고 먹히는 관계에만 그치는 것일까? 동물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은 과연 그들의 마음을 헤아려 줄 수는 없는 것일까? 애완동물과는 달리 소는 말 그대로 우리 인간에게 먹을 것을 제공하는 음식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황소에게 인간이란 어떤 의미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황소들에게 인간이란 그저 먹을 것과 재워주는 정도에 불과하다.

 

주어진 삶에 살아가야만 하는 것이 어쩌면 순리하고 생각하며 살아갈 수 있겠지만 그건 단지 인간의 행동과 생각대로 살아가는 지극히 기계적인 모습들이 연상된다. 먹고... 자고... 싸고... 이 세가지를 하루종일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소는 훌쩍 커서 인간에게 죽음을 선사한다. 그러나 우리 인간도 어쩌면 주어진 삶에 늘 반복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하게 만든다.

 

에트르는 음메~’라는 표현으로 모든 것을 소통한다. 물론 다른 소와 대화하는 장면도 있지만 그 또한 음메~’로 통한다. 인간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소가 음메~’하는 것은 자신이 무엇인가를 말하려 하거나 표현하는 것이지 그냥 이유 없이 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통 우리 인간은 소가 음메~’ 하면 운다라고 표현하지만 그들의 삶 속에서는 그 소리가 대화의 일종인 것이다. 물론 소 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들은 운다. 그 또한 표현방식의 일종일 것이다.

 

사실 이야기는 심각하게 재밌거나 즐겁지 못하다. 그렇다고 지루하지도 않다. 뭔가 인간에게 주려는 교훈을 심은 듯 조용조용한 삶을 살아가는 황소가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 보고 큰 충격에 휩싸이면서 자신의 운명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보여준다. 우명 연예인 이효리와 동물행동학 박사 제인구달의 추천 우화이면서 동물의 소리를 귀 귀울리자라는 의미있는 책이였다.

지능은 인간보다 낮은 저능이지만 자신의 운명에 대해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으며 자유를 갈망하고 인간과 같은 의지가 있었음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들도 뇌가 있고 생각하는 동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