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신과의 산책
이지민 외 지음 / 레디셋고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장편소설에 비해 단편소설은 지루함을 덜어주고 아주 짧은 이야기 속에서도 우리는 독자들의 생각과 상상을 드나들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우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레디셋고에서 출판된 [여신과의 산책]은 아주 흥미로운 주제로 8명의 작가가 상상의 나래를 펼쳐내고 있다. 특히 이지민 작가의 충격적 실화는 이 책을 읽는 나뿐만 아니라 많은 독자들에게 분명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과연 그런 징크스가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주인공 본인도 믿고 싶지 않지만 자신에게 일어나는 사건들을 모아서 받아들이는 이야기였다.
그런데 중요한건 그런 징크스가 누군가에겐 꺼려지는 주인공이 될 수 있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그녀가 필요로 느껴질 때도 있는 모양이다. 의뢰인이라고 하기엔 조금 우습지만 주인공의 징크스를 빌려 자신의 비겁함을 감추고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일깨우지 못한 채 그대로 무덤으로 가져가려는 옛 약혼자의 친구가 후자의 경우에 속하는 듯 했다.
단편 소설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충격적이지만 나는 사실 그 뒷 이야기가 지극히 궁금해 진다.
사실 제목부터가 신비감으로 넘치는 유혹이 있다.
여신, 과연 그 누가 여신과의 산책에서 우리는 8명의 여신으로부터 그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을까?
삶이 우리에게 주는 행복과 기쁨 그리고 불행과 좌절들이 살아가는 데에 꼭 만나야 하는 감정들이라면 우리는 기꺼이 그것들을 받아들이겠지만 인간 본연의 심리적인 감각은 나름대로의 방향이 다른 법이다. 분명 이 책 속에서도 8명의 소설가들은 본인들의 색깔을 충분히 부각 시키면서도 상상을 뛰어넘어 환상이라는 단어에 독자들을 잡아끌고 있다.
다른 단편집들에 비해 이 책은 [여신]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모든 소설가들이 그 주제에 맞춰 한권의 책을 이루고 그 안에서 우리는 작가들의 뇌를 들여다보는 친근함을 느낀다.
다시 그 안에서 두 가지 주제로 나누어진 부분도 꾀 매력적이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분명 자신에게 맞는 이야기가 있는 반면 지루함을 느끼는 작품도 있겠지만 단편소설은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을 읽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 있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읽는 것도 분명 재미를 느끼겠지만 뒷부분부터 읽는 것도 그리 나쁘지 않은 방법인 것만은 확실하다.
또한 앞 장과 마지막장에 작가들에 대해 간단한 프로필 및, 성장 과정을 그려내고 있어서 소설을 읽는데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어쩌면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수단과도 같은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이 모든 이야기들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감정과 상상이 함께 버물 여진 삶 속에서의 인생을 이야기 하고 있는 듯 했다.
단편이면서도 세밀하고 적극적이면서 구애받지 않은 자유로운 글은 즐거움과 씀쓸함을 동시에 느끼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