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한비자 법法 술術로 세상을 논하다 만화로 재미있게 읽는 고전 지혜 시리즈 1
조득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중국 고대 법률가이자 정치가인 [한비자]가 세상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법과 술을 재미있는 만화로 매일경제신문사에서 [한비자]에 관한 책을 발간했다.

춘추시대 말기 한나라의 공자로 있으면서 나라는 법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건의하였으나 왕은 허락을 묵살했다. 여기서 말한 법은 원칙적으로 의회에 의하여, 또는 의회의 참여에 의하여 제정된 법, 즉 법률이어야 한다는 것이 전통적인 법치주의의 요청이다.

비록 왕에 의해 주장이 펼쳐지지는 못했지만 나중에 5520책에 이르는 대저로 지금도 많은 이들이 [한비자]의 술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수가 있다.

 

이 책은 무엇보다 만화로 독자들에게 이해력을 도왔다.

전체적인 이야기는 법으로 백성을 다스리고 술로서 신하를 다스린다 하였다.

군주의 권력, 상과 벌, , 제도, 통치기술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그 쓰임이 넓은 것은 확실하다. 만화로 이야기하고,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전을 이용함으로서 재미와 교훈을 주고 있는 점이 큰 매력이다. 지금에 와서 정치에 관심이 없다가도 이 책을 보면 정치가 이런식으로 돌아가는 간단한 원리를 알 수가 있다. 물론 지금과는 크게 다른 점이 많겠지만 파고 들어가 보면 비슷한 점이 보인다. 한비자의 철학과 교훈과 지혜는 섬세하면서도 아주 구체적으로 논하고 있다.

 

특히 설림상편, 설림하편인 설화집 속에서는 한비자의 비평과 명언이 빛나고 있었으며 단편집들로 인해 흥미를 자아낸 점이 [한비자]의 여러 재능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한비자]의 오두편을 보면 좀 벌레로서 세상을 좀먹는 다섯 가지 해충에 대해서 말했다.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있어서 방해가 되는 5가지를 논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왕의 자리에 있지 않아도 사회생활에서도 현실의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는 법술이 숨겨져 있다.

인간의 이기적인 면이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한비자]에 대해서 한마디로 논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단번에 이 책을 읽었다 하더라도 분명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어려운 문장들과 한자들이 빼곡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만화로 쉽게 풀이를 한다고 했지만 만화만 이해하기 보다는 교훈이나, 평설, 고사와 만화를 연관성을 가지고 읽어봐야 할 것이다.

한번에 [한비자]에 대해 알려고 하면 너무 복잡한 상황까지 이르게 된다. 단순하고 쉽게 생각하고 깊게 그 뜻을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성인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고전을 읽고 나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점과 그에 능한 현명한 지혜를 배울 수 있는 득이 있는 책인 것만은 확실하다.

또한 [한비자]의 주요사상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