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월의 아침
한희수 지음 / 은(도서출판)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믿음, 소망, 사랑 중에 가장 중요하고 우선인 것이 믿음이라고 생각해왔다.
우리가 알고 계신 하나님은 모든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 하셨겠지만 사실 그 말이 틀린 말은 아니다. [유월의 아침]이라는 소설 속에서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다루고 있었다. 또한 이 소설의 내용은 충분히 현실 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을 법한 이야기였고 분명 많은 이들은 모르겠지만 숨겨왔던 신학교의 알 수 없는 상황을 연상케 했다.
총 3단계로 나누어진 믿음, 소망, 사랑은 어떠한 사건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어느 한 신학교 학생에 대한 불미스러운 사건을 토대로 신학교에서 징계처분을 거쳐 재판까지 가게 된 사건이다. 누구의 말이 거짓인지 진실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믿음 안에서는 분명 여 주인공의 잘못이 인정되는 부분이었고 소망 안에서는 분명 남자 주인공의 억지스러운 거짓으로 보여 진다.
마지막 사랑 안에서는 과연 ‘이 사건으로 인해 자신이 얻은 것이 있는 것일까? 하는 의구심을 남기고 있다.
믿음 안에서는 여 주인공 강지영을 재조사하는 어느 교사의 입장에서 쓰여진 글이다.
어느 한 교수가 주인공 강지영에 대한 재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막무가네로 자신의 생각을 단정 지으려 했던 부분이 있었고 그로 인해 강지영의 생각과 말, 그리고 행동들은 그 교수에겐 단지 거짓으로 치부된다. 이것이 그 믿음이라는 것인가? 분명 아니라고 소리쳐도 믿어주지 않는 많은 교수님들과 신학생들... 믿음만 있으면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도 않았을 법도 한데 신학교에서 일어난 일이라 더더욱 이사장과 총장은 이 일이 잘 마무리 되어 겉만 뻔지르한 학교를 세우려 하고 있다.
소망 안에서는 주인공 강지영의 부탁을 받고 도움을 주는 한 교사의 입장에서 쓰여진 글이다.
이 속에서는 앞장에서 말한 믿음이 합쳐서 강지영이 소망을 이루기 위해 애써 수치스러움을 참아가며 인내를 보여주는 내용이다. 모두가 자신을 믿지 않았지만 이 교수는 강지영을 믿는다기 보다는 신학교에 대한 좋지 않은 행실들이 절대 신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아니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했다.
세 번째 사랑 안에서는 강지영 입장에서 쓰여진 글로서 모든 사실이 드러났고 이 사건으로 인해 더욱 성숙함을 유지한다. 남편의 죽음으로 인해 힘들어하던 강지영은 하나님을 의지하면서 살았고 하나님을 닮아가기 위해 무던히 애쓰던 그녀였다. 그런데 그 하나님이 마치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고 잘 마무리 되었다지만 아직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이 그녀 머릿속에 맴돈다.
신학에 대한 정의, 사랑에 대해 배신감을 얻었지만 다시 사랑을 향해 나아가려는 그녀. 삶이란 언제나 절망과 고통이 함께 하지만 믿음, 소망, 사랑이 존재한다면 모든 삶은 평화를 되 찾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