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약속
윤정은 지음 / 양철북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현재 남, 북으로 분단된 국가로서 당연히 알아야 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사실 북한에 대한 관심은 김정일 사망 소식을 접하면서부터 어쩌면 한국인에게 더 깊게 다가와준 관심도의 일부분일수도 있겠다.

[오래된 약속]은 작가가 실화를 바탕으로 꾸며낸 진실과 허구가 함께 버물어진 북한의 사회적인 한 면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정치적인 면도 아니고 생명에 위협을 느껴서도 아닌 단지 배고픔에 굶주리지 않게 위해 두만강을 건너왔다는 이 책의 중심적인 이야기는 실로 탄성이 터졌다. 그동안에 관심 밖의 이야기로만 생각해왔던 탈북자들의 이야기가 이처럼 가깝게 다가와줄 것 이라고는 생각하지도 못했을 뿐더러 작가의 의도와 더불어 이 책의 배경지가 마치 이 책속에 내 자신이 남한의 한 활동가로 느껴지기까지 했다.

첫 단락에서는 북한의 한 탈북자 여성을 중심적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면서 그녀의 가정과 생활도, 그리고 이별과 또 다른 만남을 이어간다. 배고픔에 굶주려서 이틀에 한모금의 물을 마시며 생명을 연장해 가는 그녀의 현재 상황이 참 씁쓸함을 남겼고 마침내 중국으로 건너가기를 결심하면서 또 다른 탈북자들과 그들을 도와줄 남한 비정부 활동가들을 만나면서 이야기의 전개가 시작된다. 처음부터 북한과 남한은 살아온 습관, 사회적인 면, 문화가 다르다보니 많은 점들이 그들에겐 두려움으로 가득 찼으며, 그들을 마음으로 이해하면서도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섬세하게 다루었다. 어느 정도 예감을 하면서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분이 문화적인 면도 있겠지만 서로 전쟁을 상대로 서로를 죽이는 나라로 인식하다보니

탈북자들에겐 안정적인 집과 음식을 제공해도 남한 사람들은 그저 자신들을 이용의 가치로 여긴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탈북자들 중에서는 모두 생각과 사상이 조금씩은 달랐으며 저자는 그 부분에서 탈북자들을 한 통속으로 몰아붙이지 말라는 충고를 하는듯했다. 첫 번째 단락에서 탈북자 여성이 중심을 이루고 주인공인 반면 두 번째 단락에서는 탈북자들을 도와줄 남한의 한 여대생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녀의 생각을 또 다시 읽어 내려가면서 남한과 북한의 심리 상태와 그에 따른 생각 사상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1997년에 실제로 13명의 탈북자가 제 3국가의 밀입국을 시도하여 한국 대사관에 망명신청을 했던 사건이 있었다. 이 책속에서는 이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사실 탈북자들의 마지막이 어떻게 장식되어졌는지는 말하지 않고 있다.

남한의 입장과 북한의 입장이 서로 대조적인 면을 보이지만 우리는 한민족임이 틀림없다. 어쩌면 저자는 남과 북의 만남을 기약하듯이 [오래된 약속]을 한 것처럼 그들과의 동행은 당연하다고 말하는 것이 나일까 생각한다.

지금도 탈북자들에 관한 뉴스는 항상 끊이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언젠가는 통일을 바라보는 우리 민족의 아쉬움을 남긴 이야기였다.

 

해당 서평은 양철북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