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왜공정 - 일본 신新 왜구의 한반도 재침 음모
전경일 지음 / 다빈치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들이 있었음에도 일본을 알아가려는 나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

적을 알라야 한다고 하지 않았던가?

물론 지금은 그 수많은 전쟁이 잠시 중단? 되고 있는 시점이지만 언젠가는 한반도를 다시 침략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2045년에는 어떤 일들이 일본인들의 뇌에 박혀 있을지 알 수가 없지만 우리는 그것을 알아야 할 의무가 있지 않겠는가?

이 책을 처음 펼치는 순간 너무 어려운 단어들과 그에 걸 맞는 이야기들에 잠시 뒤뚱거렸다.

평소에 역사를 안다고 자부했던 한 독자로서 이 책은 쉽게 읽혀지지 않는 부분 또한 사실이다. 숲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알 수 없지만 어떤 나무들이 그 숲을 웅장하게 하는지는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일본에 대한 우리 민족의 뼈아픈 역사를 뒤집어 보면 참 아이러니 하게도 우리는 항상 약자에 불과했던 점들이 마음을 아프게 만든다. 또한 저자가 말하는 900여 차례의 침략에서도 우리는 꿋꿋이 이렇게 한반도에 자리 잡고 있음에 감사한다.

처음의 서두를 살펴보자면 신라시대부터 아마도 우리는 일본과 등을 돌려야 하지 않았나 싶다.

사실 일본도 백제의 백성으로 한 민족임이 분명한데 어쩌다가 이렇게 아주 가까운 나라임에도 항상 서로를 살피는 나라로 성장했단 말인가?

나당연합군에 패한 백제가 임나일본부과 함께 하였지만 그 빛을 발하지 못하였고 그 때문에 백제 인들은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백제 인들은 한반도를 차지하고 있는 신라에 대한 억압된 무언가가 끈임 없이 존재하였고 그 이후로도 고려시대에 수차례 침공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일본인들은 아직도 옛 역사에 대한 깊은 앙갚음이 있는 건 사실이다.

저자는 이 책을 편찬하는데 7년 동안 이라는 세월동안 자료를 찾아 기록 했다.

그 만큼 우리가 알지 못한 쉽게 접하지 못한 사건들이 꼼꼼히 기재되어 있는 점을 말하고 쉽다.

 

현재 우리는 또 한번 일본과의 좋지 않은 감정으로 독도를 야기한다.

그 문제 또한 서로 보는 시각에서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서로의 의견을 말하지만 분명한건 서로의 문화차이도 있다는 점이다.

자신이 자신을 알지 못하고 타인을 알아가기란 쉽지가 않다. 그렇기에 먼저 우리 민족의 의도와 생각, 그리고 서로의 문제점을 알아가는게 지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우리 한국사를 이야기 하면서 일본에 대한, 지금까지 일본과의 마찰, 역사 왜곡, 그리고 현재의 실체 파악과 앞으로의 현대사와 세계사를 보여준다. 잦은 마찰에도 승리의 역사를 통해 우리는 그 힘과 민족성에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책의 두께가 상당히 두껍고 빼곡히 찬 책을 여러 날을 나누어서 읽었다. 이해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한자 해설과 부가 설명이 있었다면 좀 더 이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