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워 호스
마이클 모퍼고 지음, 김민석 옮김 / 풀빛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한 동물과의 교감은 어쩌면 자연의 이치인지도 모른다.
[워 호스]의 저자 마이클 모퍼고는 어느 마을 회관에 걸려있는 말 그림에서 아마도 이 소설의 어감을 얻은 듯하다.
이 소설도 인해 많은 이들이 그 회관에 걸려 있는 먼지투성인 말 그림을 기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어느 한 소년과의 인연으로 전쟁 속에서도 항상 희망을 머리지 않았다.
비록 이 소설은 말의 시점에서 그려낸 이야기 일지라도 사랑을 전하고 있었다.
자신이 주인이 더 이상 기를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주인공인 말(조이)은 전쟁터로 향하게 되고 주인은 매번 바뀌게 되지만 만나는 주인들마다 조이를 따뜻한 손길과 사랑으로 보살펴 준다.
그만큼 조이는 멋있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릴줄 아는 지혜를 가진 녀석이다.
영국과 독일군의 전쟁 속에서 아군이 되었다가 적군이 되었다가 다시 아군으로 돌아오는 여정은 그리 쉬운 길도 아니고 짧은 전쟁도 아니었다.
몇 해를 전쟁 속에서 살아온 탓에 갖은 고생을 하면서도 자신을 돌봐주는 따뜻한 손길에 희망과 용기를 얻은 조이는 자신의 제일 첫 번째 주인을 다시 만나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주인 앨버트는 조이를 알아보지 못하고 앨버트 또한 조이를 찾기 위해 군대에 들어오게 되었다.
사실 현실 속에서는 말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어 전쟁 속으로 들어가는 자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소설에서나마 사람과 말의 교감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임을 느낀다.
파산풍이라는 병을 안고 졸아온 조이는 앨버트의 사랑과 정성으로 다시 회복하고 전쟁은 막을 내리지만 앨버트와 조이는 또 다시 헤어짐을 맛보는 결정을 맺는다.
군인들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말들은 대부분 다쳐있거나 이미 다쳤던 말들이라서 경매에 붙인다는 말을 듣고 앨버트는 큰 고민에 휩싸이게 된다.
하지만 조이가 전쟁을 하면서 알게 된 고마운 할아버지가 조이를 낙찰 받게 된다.
할아버지의 손녀가 조이를 얼마나 사랑했고 보고 싶어 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비록 그 손녀는 세상을 등 졌지만 자신의 손녀를 기억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조이를 다시 데려오는 것뿐이었다. 그러나 앨버트의 사정을 안 할아버지는 조이를 아주 싼 값에 넘기면서 자신의 손녀를 기억해 달라는 기약을 맺고 이 소설은 막을 내린다.
조이는 소설 속에서 자신이 보고 듣고 느낀 점들을 소설 속에 짚어 넣었고 다른 수많은 말들을 만났지만 그 말들과의 소통은 단 한부분도 없었다.
단지 자신에게 말을 걸어주는 그들의 대화나 전쟁의 진행을 맡고 있었다.
전쟁을 하면서 사람의 입장이 아닌 말. 즉, 동물의 입장에서 이 소설은 큰 감동을 전해주고 있다. 대화는 할 수 없으나 교감으로 느끼고 감동적인 우정을 나누는 조이와 앨버트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교훈적인 부분들을 남기고 있다.
해당 서평은 풀빛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