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의 정의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10
글로리아 웰런 지음, 범경화 옮김 / 내인생의책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와 나라가 서로 땅을 두고 싸우는 그런 전쟁이 아닌 정권에 앞 다투어 자신들의 민족을 암살하고 고문하고 납치하는 그런 전쟁이 우리나라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글로리아 웰런의 [그녀의 정의]는 추악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인권 침해 사건으로서 1976에 시작하여 1983년까지 아르헨티나 정권이 무려 20번이 바뀔 정도로 나라 정세가 어수선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쿠테타로 집권된 정권으로 인해 무고한 시민들의 희생이 그 뒤를 따르고 있었다. 불법체포, 사살, 암살, 납치 등으로 많은 시민들은 말 그대로 ‘실종자들’ 에 불과했다. 지금도 나라에서는 그때의 사건당시 실종자들에 대한 정확한 숫자에 대해 함구하고 있었다. 한 인권단체의 비공식 집계에 따르면 그 기간에 희생된 시민들은 실종 3만, 강제입양 500명, 정치범 1만, 정치적 망명이 무려 30만에 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이 사건의 전쟁을 ‘더러운 전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때의 사건은 이미 잦아들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사건을 아직도 가슴에 묻어두고 있었다.

이 책에서는 그때의 사건을 두 남매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편지글과 비슷한 어구로 사건을 이야기 하고 있다. 에두아르도와 실비아 두 남매는 아주 평범한 가정에서 시를 발구하는 어머님과 의사인 아버지와 함꼐 살아가고 있다가 나라가 아르헨티나를 죽여가고 있다는 생각에 에두아르도는 대학생의 신분으로 각종 집회와 시위에 참여하게 되고 곧 가족들은 에두아르도의 행동에 반대를 하게 된다. 하지만 에두아르도는 자신이 하는 일이 나라를 살리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었으며 군부독재에 싸워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은 헌병들의 불법체포로 인해 에두아르도는 감방에서 갖은 고문으로 인해 시달리게 된다. 그러다 동생 실비아는 자신이 오빠를 도울 수 있는 일이 분명 있다고 생각하고 당시 정권의 큰 권력을 휘두르는 로페즈 장군의 아들 노베르토를 만나 연애를 하기 시작한다. 사실 연애라기보다는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오빠의 석방을 부탁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실비아의 친구들은 로베르토가 누군지 알면서 그 자를 만나는 실비아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친구들 또한 반대를 한다. 로베르토를 통해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만났고 어느 날 로베르토는 실비아와 단둘이 있을 계획을 세우고 집안의 하인들에게 휴가를 보낸다. 그러다 로베르토의 갑작스런 행동에 실비아는 순간 로베르토를 청동 트로피로 때려 쓰러지게 만드는데 그때 로베르토 어머니가 나타나 실비아에게 여길 빨리 빠져 나가라며 실비아를 구원해준다. 사실 로베르토 어머니는 남편의 못난 정치에 아들 또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국민의 한 일부의 마음을 드러내는 듯 했다. 실비아가 로베르토 집에서 도망칠 때 그의 어머니는 실비아 에게 봉투를 건넸는데 그 봉투 안에는 로페즈의 관한 많은 증거물의 서류였다. 실비아는 집에 돌아와서 부모님께 사실대로 이야기를 했고 집을 떠나려던 중 또 한번의 헌병들 출현에 실비아 마저 잡혀가게 된다. 사실 실비아 아버지는 로페즈의 병을 고치는 주치의로서 에두아르도를 석방해줄 조건으로 교환 임무를 맡았는데 실비아 마저 잡혀 갔으니 일이 엉망으로 꼬여 버리게 되었다. 그리고 두 남매는 서로 마주 감방에서 마주 하면서 결국은 실비아가 서류에 대한 사실을 밝히고 실비아와 에두아르도에게 다른 나라로 도망 갈 것을 말하며 그들의 부모님과 함께 아르헨티나를 떠나게 된다.

이 책에 실린 이야기는 사실 많은 시민들의 이야기 보다는 한 가족의 사건을 다루는 이야기로서 범위가 크지 않다. 심심한 면도 보였으며 나라를 위해 한 남자가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애절한 이야기었다. 이야기의 즐거움은 크지 않았으나 이 때의 사건을 잘 다뤄준 소설로서 많은 국민들이 이 사실을 항상 지니며 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실종자들’ 시대에 정부나 군부에 있었던 고위층 간부들은 자신들의 잘못이 무언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르헨티나처럼 더러운 전쟁이 있었기에 더욱 교감이 가는 내용이었다.
“사람은 동정심 없이는 살수 없다.” - 도스토에프스키 -

해당 서평은 [내 인생의 책]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