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인문주의자의 과학책 읽기
최성일 지음 / 연암서가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부터 (어느 인문주의자의 과학책 읽기)뭔가 독특함을 느낀다.

먼저 이 책 제목의 의미를 보자면 ‘과학’이라는 이공계가 딱딱하기도 하고 선뜻 다가가기가 참 어려운데 문과 출신인 이 책의 저자 최성일은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해 주고자 한다.


[열역학의 내용을 모르는 인문계는 단순무식한 이공계가 한심하고, 칸트라는 사람이 무슨 말을 했는지 통 모르는 이공계는 고리타분한 인문계를 감상적이라며 비웃는다.]

이렇듯 이공계와 인문계는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지면서 섞일 수 없는 성질을 띄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과학책은 과학자만 읽으라는 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누군가의 눈으로 과학책을 한 다리 건너서 읽는다는 건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다. 읽기 어렵고 난해한 부분들을 인문주의자의 뛰어난 글 솜씨로 독자들에게 ‘과학은 딱딱한게 아니며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처음으로 자신에게 다가와준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어린 중학생인 저자의 나이에 조금 어려운 책이었으나 그 책으로 인해 과학의 문에 다가섰고 과학을 알기 위해선 꼭 거쳐야 하는 관문이라고 했다.



책을 쭉 읽다보면 과학책과 저자의 인생이 묻어남을 느낀다.

발명발견과학전집 편찬위원회의 [소년소녀발명발견과학전집]을 통해 요하네스 케플러를 생각했고,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를 읽고 지구의 움직임을 확인했다. 이처럼 저자는 어떠한 책에 자신이 생각한 관점을 써 내려갔고 과학책에 대한 키포인트를 보여주고 있다. 흔히들 과학책은 흥미가 떨어지며 단지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이라고 여겼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이해력과 흥미가 함께 버무려진 찰떡 궁합이다. 저자의 책에서도 유명 과학자들의 자서전을 인문주의자의 눈으로 재미있게 다룬 서평들이 많다. 하지만 이번책은 관련된 출판계의 흐름을 두루 분석해 저자와 출판사의 진정성을 꼼꼼히 다룬 서평이었다.


과학에 관심이 있으나 이해가 잘 안되었던 분들, 따분함을 없애고 책읽기, 인문주의자의 눈을 통해 알아가는 과학의 힘 등등 과학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이 책을 권해주고 싶다. 단순히 과학책이 아닌 ‘객관성’을 다루고 있다. 관찰을 거쳐 "규칙은 구체적이고 명확할수록 더 흥미롭다 "다는 것이다. 즉 과학 규칙의 핵심은 일관성에 있다는 것이 저자의 소개다. 저자는 자신이 보아왔던 과학책(전기, 자서전, 편전 등등)을 읽고 평가하고 서평을 하고 감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