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컬러 오브 워터 - 흑인 아들이 백인 어머니에게 바치는 글
제임스 맥브라이드 지음, 황정아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책 제목부터 독자들의 눈을 사로 잡아 버린 [컬러 오브 워터]는 흑인 아들이 백인 어머니에게 바치는 글이라는 소 제목으로 한번더 나를 뒤 흔들어 놓았다. 처음엔 책을 읽어 나가면서 미친듯이 혼동을 했다. 대체 엄마를 1인칭으로 쓰여진 것인지 아니면 저자 [제임스 맥 브라이드]입장에서 화재를 적은지 알수가 없었다. 3분의1 정도를 읽고 나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책을 읽게 만드는 묘한 구성으로 짜여진 책이었다. 나로서는 이렇게 짜여진 책 구성을 읽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무척이나 힘들었는데 알고 봤더니 어머니 루스와 아들 제임스를 화자로 하여 두 사람의 삶을 한 달락씩 교차해서 이루어진 성장 소설이었던 것이다. 저자의 픽션이 조금도 들어가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실화를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난 다른책에 비해 무척이나 집중을 해서 읽었다. 정말 인종에 대한 차별이 그리도 심할까? 물론 남의 시선따윈 있을수 있고 손가락질도 받을수 있다. 색안경을 끼고 보는건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나또한 아마 어머니 루스 시절에 그의 주변에 살았던 사람이라면 시선을 루스에게 보내졌을 터였다. 하지만 다인종을 떠나 살인까지 업급하고 있다라고 생각이 들자 소름이 확 끼쳤다.
루스는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 아버지에 대한 추악한 범위내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아마비인 어머니와 동생 디디를 버리고 그곳을 떠나 앤드류를 만나 새로운 삶을 헤쳐 나간다. 하지만 흑인과 백인이 만나 결혼을 한다는건 있어서도 안되고 있을수 없는 일이었다. 만약에 그 사실이 밝혀지면 앤드류는 아마 사살당해도 누구하나 말릴 사람은 없이 싸늘한 시체로 남을 것이었다. 하지만 루스는 이미 유대인 집안을 떠나 뉴욕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결혼은 아무 문제가 없음을 밝히고 식을 올리게 된다. 그때 루스는 이미 4명의 자식들이 있었으며 하나님의 이름으로 그들은 하나가 된다. 그 후부터 루스는 유대인이라는 생각을 접어버리고 오직 주님만을 믿고 의지하며 주님이 주신 은총과 은혜에 감사하며 자식들을 하나둘씩 키워나가지만 하나의 실현이 가면 또 하나의 고통이 오는 반복적인 인생의 맛을 엿보게 된다. 하지만 그는 절대 남의 시선에도 굴하지 않고 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뭐든지 하려고 노력을 해 왔으며 가난이 닥쳐와도 남에게 돈을 빌리거나 자선에 빌붙지 않는다. 그렇게 세월은 흘러만 가고 닭이 알을 낳듯 자식들도 하나둘 늘어가던 어느날 앤드류가 심한 감기에 걸려 입원을 하지만 사실 감기가 아닌 암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얼마 후 저자[제임스 맥브라이드]가 루스 뱃속에 자리잡고 있을때 앤드류는 처자식을 놔두고 주님의 곁으로 가자 루스는 다른곳으로 이사를 간다. 그리고 또 한번의 사랑을 만나 4명의 자식들을 더 보게 된다. 하지만 그도 얼마 가지 않아 세상을 져버리고 루스와 그의 자식들을 힘든 생활을 꿋꿋히 지켜나가는 삶을 보여주고 있다.
아무리 엄마라는 존재가 정말 위대하다고 하지만 이렇게 까지 위대할 수가 있나 싶을 정도로 자식 농사는 제대로 지어놓으셨다. 학사, 교사, 의사 등등 다들 하나같이 남부럽지 잘 자라 주었던 것이다. 어머니 루스는 자식들에게
“돈은 필요없어. 머리가 텅 비었는데 돈이 다 뭐냐! 공부를 해서 정신을 키워야지”
이런 싸늘한 말들을 시도때도 없이 늘어놓았고 아마도 자식들은 그런 영향과 어머니의 모진 삶을 알았기에 더 노력하는 자식들이 되지 안았나싶다. 여기서 루스는 참 성격이 얼음같으면서도 내면으로는 여린 여성을임 알수가 있다. 이 책이 번역이 되어 우리에게 오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줄은 알지만 지금까지 살아 계셨다면 더 슬프지도 않았을 터인데 이젠 하나님의 곁에서 편히 쉴수 있도록 작은 손을 모아 기도하고 싶다. 사실 난 이 책에 많은 아쉬움이 남아있다. 좀더 현실적으로 독자들에게 다가오지 못한 듯하다. 예를들어 인터뷰식이 아니라 대화식으로 그들의 대화를 썼더라면 그들의 삶에 한층더 세세하게 엿볼수 있지 않았나 싶다. 내가 생각해왔던 스토리가 아니라 많이 아쉬웠다. 이 책은 그냥 저자[제임스 맥 브라이드]의 삷과 어머니 루스의 삶을 오가면서 적은 내용들인데 왜 나에게는 확 와닿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번역이 잘못되어서인지 책의 내용의 깊이는 있었으나 애달프고 가슴아리고 찡한 느낌을 받을수가 없었다. 또한 책 내용마다 비유법이 너무 많다 보니 사람이름과 건물, 지역들이 책의일부를 차지한것 같아 내내 아쉬움을 떨칠수가 없었다. 차라리 그런 내용들을 다 없애고 그들의 진솔한 대화나 살아가는 현실에 더 힘을 쏟았다면 눈물 섞인 책을읽었지 않았나 싶다. 아마도 오랜 시간이 흘러 내 기억속에는 “다인종 차멸이라는 내용의 책도 있었다... ”라고만 기억이 될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