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빔밥 75가지 - 한 그릇의 영양, 세계인의 웰빙 푸드
전지영 지음 / 리스컴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통해 나는 비빔밥이 어떠한 유래로 인해 또 옛 조선 사람들은 비빔밥을 어떻게 불리우는지 알게 되었다. 한국 음식하면 빼 놓을수 없는게 “비빔밥”이란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 사람만이 즐기는 비빔밥은 이제 없다. 각 나라에서도 차츰차츰 한국의 비빔밥을 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주 엤날에는 비밤밥이 단순히 남아있는 나물에 밥과 비벼서 먹는게 다였지만 시대가 변하는 만큼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 또한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인인 나에게 조차 이책은 아주 새롭고 다가왔고 나도 모르는 무언가를 하나하나 발견해 가는 즐거움이 있다. 이책이 세계 각나라에 널리 알려져서 한국을 더욱더 빛내 주었으면 하는 하는 작은 바램으로 책자를 넘긴다. 첫페이지를 보면 오방색으로 우주의 기운을 담은 음식 비빔밥에 대해 잠시 설명이 되어있다.
본문인용[비빔밥에는 하얀 쌀밥을 비롯해, 하얗고 노란달걀지단, 색색의 나물등 다양한 색의 재료가 들어간다. 이 화려한 색감은 단순히 시각을 자극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알고보면 철학적인 뜻이 숨어있다. 흰색과 초록색,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 등 5가지지의 오방색이 모두 들어있는 비빔밥은 ‘우주의기운을 담는 요리’이다. 오방색은 음과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화(火). 수(水), 토(土), 목(木), 금(金)의 오행을 만들었다는 동양의 전통적인 음양오행설을 기초로한다]
이부분은 꼭 이정명의 장편소설 [뿌리깊은 나무]를 생각나게 한다. “한글속에 숨겨둔” [대왕세종]의 비밀코드의 일부분으로 역사는 시간이 흘러도 살아숨쉬고 있는듯했다. 전국의 유명한 지역 비빔밥의 종류와 특징을 잘 살려서 설명되어 있는가 하면 비빔밥을 만들기 전에 가장 기본이 되고 숙지해야할 밥을 짓는 자세한 것들을 간단명료하게 설명과 그림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 각종나물을 맛있고 쉽게 만들 수 있는 기초상식과 비빔밥에 따라오는 단짝인 국맛을 내는 비법, 그리고 각종 음식의 궁합이 어떠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나는 이 책에서 두가지 음식을 만들어보았다.
첫 번째는 집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간단한 재료들이 들어간 “참치마요네즈 비빔밥”
참고) 책자에는 기본비빔밥 만들기가 나와있다.  



피클을 한번도 비빔밥에 넣어본적 없는 나에게 이 비빔밥은 아주 색다른 맛을 안겨주었다.
피클의 씹히는 새콤함은 참치와 마요네즈의 느끼함을 모두 가져가버렸다. 오히려 기름끼를 쫙 빼고 된장을 섞으니 그 담백함이 입안에 오래 머문다.  

  

두 번째 음식은 신부수업을 하는 나에게 있어 평소 떡갈비를 즐겨먹는 남자친구를 위해 “비빔밥 떡갈비”를 만들어 보았다.
참고) 책자에는 기본비빔밥 만들기가 나와있다 



“비빔밥 떡갈비”는 롯데리아 패스트푸드점에서 예전에 판매가 되었던 라이스버거와 불고기버거의 합작인거 같다. 밥알을 노릇하게 구운맛은 입맛없는 어린이들에게 딱맞는 햄버거의 색다른 맛을 선보여도 괜찮을것 같다. 아이들이 먹지 않은 야채들을 섞어서 만들면 한참 자라는 우리 어린이들에게도 좋은 영양소가 뒷받침 될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