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라는 고통 - 거리의 사진작가 한대수의 필름 사진집
한대수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라는 고통 거리의 사진작가 한대수의 필름 사진집

한대수

뮤지션으로만 알고 있었던 한대수. 사진작가로 활동한 줄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 1960년대부터 2007년까지, 벌써 사진집을 여러 권 내며 활동했단다. 알고 보니 그때 그 시절, 음악이 금지곡으로 지정되고서 생계를 위해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포크-락 음악의 대부이자 광고 사진작가, 또 언론사 사진기자이기도 한 것이다. 벌써 일흔다섯, 아니 애초에 난 왜 작가님을 알고 있는 거지? 그냥 어릴 때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해두고 넘어가자. 이 책은 신간 목록 훑다가 제목이 너무 좋아서 관심이 갔던 책이었는데 마침 보내주셔서 읽어볼 수 있었다. 사진 보는 걸 좋아해서 종종 사진전도 보러 가는데 특히 흑백의 필름 사진을 보는 걸 좋아한다. 흑백 사진이 주는 특유의 분위기도 좋지만 어떤 시대를 적나라하게 포착해서 보여주는 사진을 보고 있으면 정말 흥미롭다. 구체적인 사진은 구체적이어서, 추상적인 사진은 추상적이라서 생각할 거리들이 많다는 지점 또한 재미있다.

고통 없는 사람이 어디 있나.

전부 다 고통이지.

이번 사진집은 1960년대 말 뉴욕과 서울의 모습을 담은 사진, 또 뉴욕, 모스코바, 파리, 탕헤르, 바르셀로나, 스위스, 쾰른, 태국, 몽골, 베이징, 상하이의 거리에서 만난 사람들의 모습을 찍은 사진들을 수록했다. 난 60년대의 서울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동시대에 활동하던 다른 뮤지션들의 추억의 사진도 흥미로웠다. 거리의 노숙인들, 노인들을 포착한 그의 시선은 호기심이나 연민이었을지 모르지만 지금에 와서 보면 그 또한 삶이자 고통이자 추억이란 생각을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챕터 들어갈 때마다 한 꼭지씩 쓴 작가의 이야기들을 읽어볼 수 있었는데 그 시절 음악 하던 이야기, 잊지 못할 사랑과 가족과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들이 길지 않게 쓰여있어 작가의 인생을 부분적이나마 알 수 좋았다. 특히 그의 첫 아내 김명신과의 이야기는 기억에 남는다. 생각한 것보다 금세 읽어버려서 좀 아쉬웠다.



* 도서지원

* 아침서가 @morning.booksto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