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선물
앤 머로 린드버그 지음, 김보람 옮김 / 북포레스트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채화 질감이 은은해서 너무 예쁜 앤 모로 린드버그의 <바다의 선물>은 1955년에 출간된 책으로 당시 80주 동안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에 뽑혔다고 한다. 이번에 북포레스트에서 새로이 출간되어 읽어봤는데 흥미로운 점이 많은 책이었다. 중년의 작가가 자신의 인생에 대한 문제를 해소해 보고자 한적한 바닷가에서 2주간의 휴가를 보내며 삶과 인간관계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목차에 있는 소라고둥, 달고둥, 해돋이조개, 굴, 아르고노트와 같은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조개와 인간 삶의 여러 시기를 연관 지어 이야기한다. 이 책이 나온 시기를 생각하면 당시 많은 여성들에게 그렇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이 이해가 된다. 그 당시에 이런 글을 쓸 수 있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더 놀라운 것은 지금의 여성의 삶과 사회참여도가 그 당시와는 무척 다름에도 지금 읽어도 크게 위화감이 없다는 것이다. 분명히 이룬 것이 많고 지금도 변해가고 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지만 반대로 아직도 똑같은 문제로 공감한 다는 것도 놀라운 일인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만큼은 작가와 함께, 모든 것을 훌훌 버리고 나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사색의 시간을 따라가게 된다. 젊음, 욕망, 내면의 욕구들, 사랑, 부부와 가족을 비롯한 인간관계 등, 이 모든 것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내 내면의 중심을 찾아 귀 기울이는 그 시작을 함께 하는 시간 말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 <메가네>가 떠올랐다. 영화를 볼 때 내가 느꼈던 해방감과 충만함을 말이다. 바쁜 도시의 삶에서 도피하듯 떠나온 주인공이 요론섬 해변에서 홀로 앉아 익숙지 않은 사색에 젖어드는 그 모습이 연상되었고 내내 책과 결이 무척 비슷하다는 느낌을 느꼈다. 일상에서 도피하고 싶을 때, 오로지 내 생각만 하고 싶을 때 나는 이 영화를 본다. 일 년에 한 번은 꼭 보는 것 같다. 비록 충분하지는 않더라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조용하게 나에게 귀 기울이는 시간을 주는 영화다. 이 책을 보는 사람에게 영화 <메가네>도 추천하고 싶다.바쁜 도시의 삶에서 도피하듯 떠나온 주인공이 요론섬 해변에서 홀로 앉아 익숙지 않은 사색에 젖어드는 그 모습이 연상되었고 내내 책과 결이 무척 비슷하다는 느낌을 느꼈다. 일상에서 도피하고 싶을 때, 오로지 내 생각만 하고 싶을 때 나는 이 영화를 본다. 일 년에 한 번은 꼭 보는 것 같다. 비록 충분하지는 않더라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조용하게 나에게 귀 기울이는 시간을 주는 영화다. 이 책을 보는 사람에게 영화 <메가네>도 추천하고 싶다.

또 흥미로운 것은 책날개의 작가 소개였다. 도저히 검색을 해보지 않고는 못 베긴다. 조금 알아보니 작가가 이 책을 쓴 마음이나 상황이 이해가 되었고 에필로그에서 자신의 문제를 개선해 보고자 시작하게 되었다는 말도 이해가 되었다.



* 도서지원

* 인스타그램 - @morning.bookstore


참 기묘한 역설이다. 여성은 본능적으로 베풀고 싶어 하지만, 조각조각 쪼개져 희생하기는 싫어한다. 이는 어쩔 수 없는 갈등인 것일까? 아니면 얽히고설킨 복잡한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일까? 내 생각에 여성이 싫어하는 것은 지나친 헌신이 아니라 무의미한 헌신이다.
- P52

아름다운 해돋이 조개는 연약하고 덧없지만, 그렇다고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영원하지 않다고 해서 냉소적인 함정에 빠져 이를 환영이라고 부르지는 말자. 지속성은 진위를 가리는 기준이 아니다. 잠자리와 누에나방의 생애 주기가 짧다고 해서 이들의 낮과 밤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의미가 있고 없고는 시간, 기간, 지속성과 무관하다.
- P84

그러니까 인생의 오전이라고 볼 수 있는 청춘의 야성적이고 육체적이었던 삶은 이제 끝났다. 그러나 여전히 오후의 시간이 존재한다. 오전처럼 열정적으로 달리지는 못하더라도 그동안 열띤 경주를 하느라 뒷전이었던 지적, 문화적, 정신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드디어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젊음, 활동, 물질적 성공을 지나치게 강조한 우리는 노년이 결코 닥치지 않을 것처럼 행동하며 인생의 오후를 하찮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 P96

성은 오로지 스스로 자신의 진정한 중심을 찾아야 한다. 그리하여 온전해져야 한다. ‘고독한 두 사람‘이라는 관계의 서막으로서, 여성은 릴케의 말마따나 ‘상대를 위해서라도 스스로 하나의 온전한 세계‘가 되어야 한다.
- P108

리의 감정과 인간관계라는 측면에서 본 ‘참된 삶‘도 단속적인 것이다.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할 때에도 상대방을 매 순간,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한결같은 마음으로 사랑할 수는 없다. 그건 불가능하다. 그럴 수 있다고 한다면 그건 거짓말이다. 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아직도 이런 사랑을 바란다. 삶도 사랑도 관계도 밀물이 있고 썰물이 있다는 것을 좀처럼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 우리는 모든 것이 변하지 않길, 존속하길, 영원히 지속하기를 고집스럽게 바란다.
- P121

수집가들은 눈가리개를 하고 걷기 때문에 목표물 외에는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 그러나 소유욕은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진정한 안목과 양립할 수 없다. 호주머니가 축축하게 젖어 늘어지고, 책장이 가득 차고, 창문 선반까지 뒤덮이자 나는 결국 소유욕을 내려놓기 시작했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