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원했던 것들
에밀리 기핀 지음, 문세원 옮김 / 미래지향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원했던 것들 _ 에밀리 기핀 (문세원 옮김)


표지를 보면 어떤 내용일까 궁금해진다. 언뜻 추.미.스 장르처럼 보이기도 해서 재미를 기대하게 된다. 한 권의 책에 담고 싶은 많은 말들이 느껴진다. 계층 간의 차별의식, 기득권의 보수적 성향 문제, 데이트 폭력(강간), 인종차별 문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이야기 속에 버무린 느낌이다. 중산층에서 자랐지만 지금은 결혼으로 상류층의 삶을 살게 된 니나는 뭔가 이상한 느낌을 느끼지만 별 문제의식 없이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인물인데 아들 핀치와 라일라 사이에서 일어난 일을 계기로 정신이 번쩍 든다. 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뭐가 잘못되었는지 모르는 아들, 역시나 중요한 건 제쳐두고 지위와 돈을 이용하려는 남편, 잘못돼도 단단히 잘못됐다는 생각이 어린 시절 니나에게 일어났던 사건의 기억과 함께 스토리가 진행된다. 그냥 그렇게 순응하면서 살던 니나가 문제를 의식하고 제대로 살기 위해 행동하는 이야기다. 내가 아이를 기르는 부모의 입장이라면 좀 더 복잡한 심경으로 읽었을 것 같다. 어떤 상태에선 아주 명확해 보이던 일들도 어떤 상황에선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감정 문제들이 있으니까 말이다. 나는 베스트셀러에 대한 신뢰가 별로 없는 편이지만 분명 재미가 있다. 페이지가 잘 넘어가는 데다 전 세계적으로 늘 이슈가 되는 사회 문제들을 한 권에 모아 둔 책이라 베스트셀러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저자를 검색해봤는데 변호사의 이력이 있었다. 그런 이력이 다양한 문제를 스토리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소개에 '칙릿'소설 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생소해서 검색해봤다. 칙릿이란 ‘젊은 여성’을 의미하는 영어 속어 ‘chick’과 문학을 의미하는 영어 ‘literature’의 줄임말인 ‘lit’을 합쳐 만든 신조어이고 1990년대 중반 영국에서 시작, 미국을 거쳐 2000년대 국내에 소개되었다고 한다. 20대 싱글 직장(주로 광고·잡지·패션 등의 업종) 여성의 성공과 사랑을 다루는 소설이며 <브리짓 존스의 일기>를 칙릿의 시작이라고 본다고 한다. (출처 : 나무위키)

그렇구나, 난 이제 알았다.


* 출판사에서 보내주신 책입니다.

(집을 나간지 5년이 지나 딸의 생일날 갑자기 돌아온 엄마) 타이밍이 어찌나 기가 막히던지, 나는 전국의 무책임한 부모들에게 갑자기 찾아오려면 아이의 생일 전이나 후에 오라는 권고안을 공표하고 싶은 심정이었다. 아이 생일과 같이 특정한 기념일에 다시 나타나는 것은 지극히 자기도취적이며 파괴적인 행위다. 특히 영영 돌아오지 않으리라 생각하고 있는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 P69

아빠로서 딸에게 이보다는 더 나은 것을 해줘야 하지 않을까? 자기 자신을 지키고 정의를 수호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 P81

핀치 같은 놈들은 언제나 빠져나갈 방도를 찾는다. 그렇게 평생 자기가 저지른 일에 대한 결과를 책임지지 않고 사는 인간들이 있어서 우리 같은 사람들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거란 말이다. - P113

"브라질 사람도 어떤 인종일 수도 있는거요. 커크."나는 바보를 대하듯 천천히 말했다. 나는 실제로 바보와 대화 중이었다. "어느 인종이든 미국인인 것 처럼요." - P152

결혼 생활에서도 관계를 중요시 두었던 우리의 우선순위가 정확히 언제부터 흐트러진 건지 궁금해졌다.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작고 사소해 보이는 선택들, 그리고 그것이 가져오는 누적 효과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런 것들이 잠재적으로라도 핀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 P184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그렇지만 더는 아무것도 안 하지는 않으리라고 다짐했다. - P198

언제까지나 아들 곁을 지켜주겠지만 나는 무엇보다 아들이 죄를 자백하고 진심으로 회개하고 자기가 한 행동에 대해 책임질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자기가 저지른 잘못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사람이 되길, 그리고 용서받아 마땅한 사람이 되길 바란다. - P221

그렇지만 사실이다. 우리는 종종 이렇게 가장 가까운 데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 P4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