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버 드림
사만타 슈웨블린 지음, 조혜진 옮김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버 드림 _ 사만타 슈웨블린(조혜진 옮김)


읽고 나서 생각이 너무 복잡했다. 생각하게 되는 건 많지만 속 시원하게 말할 수 없고 정리할 수 없어서 읽고 나서 바로 한 번 더 읽었다. 그리고 생각은 더 복잡해졌다. 이런 것 같기도 하고 저런 것 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어, 잠들기 직전까지 계속 머릿속이 복잡했다. 먼저 올라온 다른 사람들의 후기를 보아도 뜬구름만 잡는 건 매한가지였다. 하지만 바로 이런 게 이 책의 매력이 아닌가 했다.


다비드와 아만다의 무슨 말인지 모를 대화로 시작하는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대체 무슨 이야기인가, 어떻게 되는 건가? 생각하게 하면서 불친절하게 내 머리끄덩이를 잡고 질질 끌고 간다. 뭔가 명확하게 결론을 말하지 않으면서 대략적으로 소개를 하기엔 너무 무모한 일이며 흥미를 유발하기도 힘들 것 같다. 그래도 얘기해보자면 사만다와 니나 모녀는 남편의 일 때문에 잠깐 어느 마을에 내려와 휴가 아닌 휴가를 보내고 있다. 거기서 카를라를 알게 되고 그의 아들 다비드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그런데 이야기는 사만다와 다비드의 대화로 진행되니 궁금할 수밖에. 둘의 내용도 끝도 모를 대화는 계속 이어지고 사만다의 시선으로 일련의 사건들을 보게 된다. 그리고 사만다는 다비드에게 자꾸만 니나는 어디 있는지 묻고 다비드는 자꾸만 중요한 건 그게 아니란다.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이며 이들은 무엇을 알려고 하는 것일까.


/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에요 /


/ 아무것도 하지 않으실 건가요?

- 응, 다비드. 난 아무것도 안 할 거야. /


/ 독은 항상 있었죠.

통증은 사라졌다 다시 오죠. /


결국 다비드와 아만다가 대화 속에서 계속 찾으려는 그것은 유독 물질에 중독이 되는 그 순간이다. 더 이상 못 본 척하고 넘길 수 없는 그 지점. 즉 사람들이 방관해왔던 사실 자체를 일깨워주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알고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지 않은 척하는 게 더 쉬운 문제들 말이다.


이 책이 말하려고 하는 것은 아마도 환경문제이다. 환경을 생각지 않은 유독물질의 폐기 등으로 땅과 물이 오염되고 가축과 야생동물 모두 남아나는 것이 없다. 그리고 이것은 인간도 피할 수 없는 일로, 태어나는 대부분의 아이가 기형아일 정도로 심각하다. 멀쩡한 사람도 중독되어 살아갈 수 없는 이야기. 그것을 이체(移體)라는 영적인 소재와 함께 버무려 전체적으로 으스스 한 궁금증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말하자면 현대 디스토피아 미스터리 스릴러 중편 소설이랄까.


분량이 길지 않다. 150페이지 조금 넘는 중편인데 미스터리한 느낌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끌고 가는 것도 대단한데, 아, 환경문제를 이야기하려는 거구나, 이체는 그저 장치일 뿐이야, 하고 마무리를 내려 할 때쯤 다시 한번 이게 다가 아니야! 하고 머리끄덩이를 잡아채는 느낌이 대단하다. 왜 2021년 넷플릭스 영화로 공개될 예정인지 알 것 같았다.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라서 서평단 신청을 해보았는데 기대한 것보다 더, 굉장히 빨려 들었던 책이다.

그건 지금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에요. - P108

아무것도 하지 않으실 건가요?
응. 다비드. 난 아무것도 안할거야.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