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노키오는 왜 엄펑소니를 꿀꺽했을까? - 문자도 우리 문화 그림책 15
박연철 글.그림 / 사계절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엄펑소니가 뭐지? 라는 궁금증에서 출발한 책 읽기는
할아버지와의 내기에서 결코 지지않겠다는 결연한 각오를 갖게 하더니,
병풍처럼 주르륵 펼쳐지며 아이들에게 놀이감이 되었다가, 
책을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까지 경험하게 하며 마무리 된다.
책 한권으로 이렇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다니 정말 멋진 책이다.

내기쟁이 할아버지의 내기 제안으로 이 책은 시작된다.
내기란 이야기를 들으며 거짓말에 속으면 지는 것이고 속지 않으면 할아버지가 지는 것이란다.
이기면 상품으로 커다란 엄펑소니를 받을 수 있고, 지면 할아버지의 부탁을 들어줘야 한다.

내기라는 말에 문제가 나온다는 말에 아이들은 긴장하지만
재미난 이야기의 등장에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빠져들고,
글 속에 들어 있는 어이없는 모순을 너무나도 쉽게 발견해 낸다.
속지 않았다며 어찌나 좋아하고, 웃어대는지.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의 8가지 고유의 문자도라는 것을 구경할 수 도 있고,
앤디 워홀에게 염감을 받았다는 작자의 설명을 보지 않더라도 재미난 팝아트의 세계를 경험해 볼수 있다.
아이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새로운 그림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책을 다 읽고 덮은 후에도 아이들은 이 책의 매력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계속 손에 들고 놓지 않는다. 이 것이 바로  이 책의 힘 인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집
김희경 지음,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 / 창비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
글로 단어를 적어보니 낯설다. 늘 입에 담고 썼던 단어인데...  낯설다.
낯선 단어의 느낌이어서 일까 책의 그림도 낯설다.
하지만 묘한 매력이 있다.

내 마음을 들여다 보는 것이 조금은 두려운 걸까?
책의 미소년도 반쯤 가린 자신의 얼굴과 함께 묘한 표정으로 나를 본다.
'우리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 하며 질문을 던지는 소년!

푸른 빛이 도는 각 장의 그림에 빠져들다보면 간혹 글을 읽는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
아참 하며, 다시 되넘겨 읽는 글이 참 아름답다.

마음,,, 누구나 갖고 있는 마음이지만 잘 알수 없는 마음을 어쩌면 이리도 적절하게 묘사하고 있는지.

'마음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집과 같아!'
집으로 표현 된 마음에 대한 묘사는 정말 멋지다.

마지막 장을 넘기는 순간 나의 모습과 맞닥들여 졌을 때의 감정도 묘하다.
책의 표지와 하나가 되는 순간인 듯하다.
그리고, 나의 마음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조용히 명상에 빠지게 한다.

조용히 나를 되돌아 보고 싶을 때.
친구가 나의 마음을 몰라준다며 눈물 짓고 있는 아이가 있을 때,
엄마는 아무것도 모른다며 엄마에게 등돌리는 딸, 아들이 있을 때 조용히 건내주면 너무 좋을 아름다운 책 한권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10-14 1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새로운 상상그림책 <문제가 생겼어요!>가
최근에 출간 되었습니다.
 
어린 양과 선한 목자
크리스토프 스텔린 지음, 강미경 옮김, 안야 라이헬 그림 / 두란노키즈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나온 성경 구절(시편 23편)은 우리가족과 참 많은 인연이 있는 구절이다.
처녀시절 교회에 발을 끊고 살아가다... 아이들이 유치원을 다니면서 다시 시작한 신앙생활에서 처음 만난 성경구절이기도 하고, 아이의 첫 성경암송대회 말씀이기도 하다.

처음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더라도 너무나 유명한 말씀이기에 너무 기대가 된 책이었다. 기대에 부응하려는 듯  책을 받아들고 푸른 들판(초장)에 누워있는 선한 목자의 얼굴을 본 순간부터 감동이 밀려왔다.

이 책은 조용히 그 분을 떠올리게 한다.
나를 항상 지켜주시는 나를 항상 살펴보시는 목자. 든든한 나의 후원군 그분을 떠올리게 한다.
내가 목이 마를때, 내가 슬퍼서 울때, 내가 외로울 때 가만히 속삭며 나를 위로하시는 그분이 계시다는 생각만으로 가슴이 벅차오른다.

엄마의 마음을 아는 것일까? 아이들도 이 책을 너무 소중하게 생각한다.

폭신한 초장에 누운 듯 푹신한 표지 제본도 좋고,
책을 수놓고 있는 수 많은 미소도 좋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온갖 동물들로 시작되는 책의 첫 부분도 너무 좋고,
아이들에게 조용히 속삭이는 듯한 대화풍의 내용도 좋다.

내 아이들의 곁에 하나님이 함께 계신다는 소망과 믿음의 씨앗이 심어주는 이 책이 고맙고,
암송대회 후 잊고 있었던 귀한 성경말씀을 다시 한 번 만날 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가족 비밀 캠프 맹&앵 동화책 3
정란희 지음, 박재현 그림 / 맹앤앵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할 것 같지 않지만 우리 주변 어디엔가는 있을 세 가족이 등장합니다.
좀처럼 꺼내기 어려운 소재 일것 같은 교도소로 엄마를 찾아가는 이야기와
이혼한 가정에서 엄마와 함께 사는 민지네 이야기,
양로원에 모신 할머니를 찾아가는 이야기.
세 편의 글 모두 엄마에 관한 짠한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엄마는 실수로 누명을 써서 교도소에 가지 않았습니다.
그런 엄마를 바라보는 딸의 심정이 좋을 수는 없었겠지만 그래도 아이들에게 엄마인걸요.
그런 엄마지만 사랑할 수 밖에 없고, 그런 엄마지만 함께 있고 싶은, 그런 엄마지만 소중한 그분.
여성 수형자 가족 캠프에서 '엄마와 함께 집으로 가기'라는 상을 받아들고 기뻐하던 연자와 성근이의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 합니다.
또한 교도소에 있는 딸을 만나러 짐을 꾸리는 외할머니의 마음도 헤아려 보게 되는 책입니다.

아빠와 이혼한 엄마.
엄마라고 하면, 요리도 잘하고, 뭐든지 잘하는 그런 분 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글의 엄마는 그렇지 않습니다. 항상 뭔가 부족하고 돌보아 주어야 할 것 같은 그런 엄마. 할 줄 아는 것은 글쓰는 재주 밖에 없는 그런 엄마. 내가 돌보아 주어야 할 것 같은 엄마... 그런 민지네가 행복해 졌으면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양로원에 엄마를 모셔놓고, 거기에 엄마를 모셔놓은 남동생에게 서운한 우리내 엄마도  나옵니다. 무거울 수 밖에 없는 소재 속에서 잔잔한 엄마의 사랑이 느껴지기도 하고, 왈칵 눈물이 쏟아지게도 하는 묘한 감동이 있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에겐 권리가 있어! 다섯 걸음 학교 1
알랭 시셰 글.그림, 김현경 옮김 / 톡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권리라는 말은 무척이나 어려운 단어인 듯 하다.
책을 펼치기 전부터 아이들은 권리가 무엇인지 묻어댄다.
"엄마, 권리가 뭐야?"
"글쎄~, 무엇이 권리인지 한번 읽어 볼까?"

내가 부모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베풀었던 각종 보상없는 사랑들이 이 책에는 아이들에게 권리라는 이름으로 다가왔다.
이 책은 우리 아이들이 배고프지 않을 권리와
춥지 않게 옷을 입을 수 있는 권리,
차별 받아서는 안되는 권리,
건강하게 자랄 권리,
늘 사랑받고 보호 받을 수 있는 권리,
그리고 배울 수 있는 권리,
존중 받을 수 있는 권리 등 우리 아이들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권리에 대해 알려준다.

하지만 세상에는 2억여명의 어린이들이 영양 부족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수 많은 아이들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따돌림을 당하고 있고, 질병으로 생명을 잃고 있는 수 많은 아이들에 대한 정보 제공도 하고 있다.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정말 무시무시하고 심각한 수준이었다.

한쪽에서는 아이들에게 주어진 권리를 설명하면서도,
다른 한 편에서는 그런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쓰러져 가고 있는 어린이들의 수를 보여 줌으로써
우리 아이들이 자신만 생각하는데 벗어나 세상의 어린이들의 인권에 대해 생각하는 게기를 마련해 주고, 또한 어린이이기 때문에 누려야 하는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일터로 폭력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에게도 권리를 찾아 줄 그날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는 다짐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