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통함이란 막상 겪기 전에는 어떨지 아무도 모르는 ‘곳‘이다. 비통한 일이 닥치면 저절로 ‘치유‘되겠거니 상상한다.
끝없는 부재와 공허, 무의미 그 자체를 경험하게 될 잔인한 순간의 연속은 짐작조차 할 수 없을 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가 오면 젖은 흙 속에서 깨어난 나무 향기가 밀려온다.태어나기도 전에 이미 탯줄을 통해 몸에 스며들었던 것 같은 그내음은, 내가 어떤 방황을 하더라도 결국 대지의 일원이라는것을 알려준다.툭툭 소리가 점점 커지는 하늘을 겨우 가린 우산 아래서, 비가 부딪치며 짙은 색이 천천히 번지는 산책로 담벼락을 한참 바라보기도 한다.비가 오는 이 예외적인 하루를 좋아한다. 하루라는 낱말은 아주 가볍고 보드라운 어떤 생명 같아서 발음할 때마다 선물처럼 반갑고, 어제의 시간으로 보내야 하는 일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말도 말해지는 순간 비로소 현실이 된다. 현실이 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바로 말하는 사람을 구속하는 ‘법‘으로서 효력을 지닌다는 뜻이다. 이 점은 맹세한다라는 말에서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맹세는 어떤 법의 문장에 근거해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오로지 맹세한다고 말하는 행위자체가 말하는 자를 구속하는 법인 것이다. 그러니 맹세의 말과 더불어 지상에 없던 유일무이한 법, 오로지 맹세의 말을한사람만 구속하는 새로운 법이 탄생하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폭우로부터
가뭄을 만들어낼 수 있는가?"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엉뚱한 질문은
철학에서 날씨를 만든다는 착상이
생겨난 최초의 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복의 다른 이름은 변신이며, 그런 까닭에 반복이 이루어짐에도 새로운 무엇인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