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전 출간된 책이라 고증도 20년전, 혹은 그보다 오래전. 예를 들어 피라미드는 노예들이 지었다.와 같은. 피라미드를 건조한 이들이 자발적이었고 부유하다는 증거가 2003년 이집트 최고박물위원회의 발굴로 확보되었으니 이전에 제작된 책들에 반영되기는 어려웠겠지.

재밌는 건 이 설이 이미 1560년 스웨덴의 시계수리공인 브루크에 의해 제기되었는데, 그 논거랄 게 실증적인 뭘 쥐고 있었던 게 아니었다는 점이다.

그는 시계 하나 만드는데도 이렇게 정성스런 작업과 집중도와 숙련된 기술이 필요로 하는데, 시계보다 몇천배는 큰 피라미드의 돌들이 틈하나 없이 방위와 위치의 정확도를 유지하고 심미적 아름다움을 획득하려면, 나태하고 마지못해 일하는 노예들을 이용해서는 도저히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편 것이다. 자신의 직업적 경험을 바탕으로 유추하고 일반화한 셈. 그래서 당대에는 비웃음 거리가 되었다고.

그는 당시에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다 망명을 하게 되었는데, 사회적 압박에 쉽게 굴복하는 사람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당대에 많은 사람이 옳다고 믿는 일, 역사적 사실이나 가치에 대해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고 손을 드는 일은 어느 시대나 핍박의 대상이었으며, 그럼에도 그러므로 꼭 필요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