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세대가 본 논어 2
배병삼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원히 끝나지 않는 배움 : 공자의 호학(好學)



인생의 책을 한 권 꼽으라면, 그리고 누군가에게 반드시 추천을 해준다면 그것은 바로 논어. 논어는 가볍게 넘기는 책이 아니라는 생각에 필기를 하며 꼼꼼하게 읽었다. 논어는 많은 것을 바꾸어 주었다. 말을 할 때도 다시 생각하게 되었으며, 스스로를 더욱 반성하게 되었다. 내가 그동안 공자에 대해서 제대로 읽지도 않고 얼마나 많은 편견을 가지고 있었는지, 아울러 동양철학에 대해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깨닫게 되었다.



9월 한 달 동안 많은 책을 읽지는 못했다. 그러나 논어 한 권이라면 9월은 충분했다. 작년 12월부터 읽기 시작한 책의 여정이 논어를 위해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논어는 그만큼 가치 있는 책이다.







1) 배움의 자세 : 호학



논어 1편인 ‘학이’에서 마지막 ‘요왈’에 이르기까지 공자가 계속 강조한 것은 ‘배움’, 즉 호학의 자세이다. 오히려 공자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인(仁)보다도 더 자주 등장한다. 공자는 스스로를 배움을 즐기는 사람이라고 말했고, 세 사람이 길을 가도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기 마련이라며 배움의 자세를 강조했다.





1-01-1

배우고 때맞춰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20-03-3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지 못하는 법. (不知言, 無以知人也)





우리는 계속 ‘공부’한다. 그러나 이것이 진정한 배움이라고 할 수 있을까? 공자가 말하는 호학이란 아무것이나 닥치는 대로 배우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인(仁)이며, 서(恕)와 충(忠)을 의미한다. 남을 의식하며 내 몸을 잘 먹이고 잘 입히기 위해 하는 공부(爲人之學)가 아니다. 그것은 나를 의식하며 스스로를 수양하는 공부(爲己之學)이다.







2) 잘못된 유교사상의 폐해 : 공자는 잘못이 없다.



우리는 흔히 우리의 기업 문화, 국가 조직 등에 대해서 그 탓을 ‘유교사상’으로 돌린다. 유교사상으로 인해 위아래 질서가 뚜렷하다, 복종의 문화가 있다느니, 등등. 그러나 과연 공자는 그렇게 말했을까?공자는 무조건 위에 복종하라고만 했을까?



11-23-3

이른바 ‘대신’이란 도(道)로써 임금을 섬기다가, 안 되면 곧 그만두는 존재인데, 지금 자로와 염유는 구신이라 이를 수는 있겠지요.



12-23-0

자공이 벗을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곡진하게 깨우쳐주고 잘 이끌어주되,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는 관계지. 욕을 자초할 것은 없을 터이므로.



그렇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끊을 수 없지만, 임금과 벗을 대하는 관계는 끊을 수 있는 관계이다.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이치에 어긋나려 하면 올바른 길로 인도하되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어야 한다. 잘못된 것이 있다면 알려주되 고치지 않는다면 ‘쿨하게’ 가버릴 줄도 알아야 한다.







3)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른 정치냐는 질문에 공자는 인(仁)을 행하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라고 애매하게 대답하지 않는다.공자의 대답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점을 준다.





12-07-0

자공이 정치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경제를 넉넉히 하고, 안보를 튼튼히 하며, 백성들이 믿도록 하는 것이지.

자공이 말하였다. 부득이 버려야 한다면 이 셋 가운데 무엇을 앞세우리까?

말씀하시다. 안보를 버려야지.

자공이 말하였다. 만부득이 버려야 한다면 나머지 둘 가운데서 또 무엇을 앞세우리까?

말씀하시다. 경제를 버려야지. 예로부터 죽음은 다 있게 마련이지만, 백성이 믿어주지 않으면 (공동체는) 성립하지 못하는 법이니.





16-01-8

내 듣기로, 국(國)이나 가(家)를 경영하는 자는 (생산량이) 부족한 것을 근심하지 않고, (분배가) 고르지 않음을 걱정하며, 또 가난이 아니라 (사회의) 불안을 걱정한다더구나. 대개 균등하면 가난한 줄 모르고, 화목하면 부족한 줄을 모르면, 평안하면 나라가 기울 수가 없는 법이니.





백성에게 믿음을 주는 것, 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는 것. 현재 우리는 어떤가? 우리는 국가를 믿고 있으며, 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우리의 상황은 좋지 않다. 국민은 국가를 믿을 수 있고, 분배가 고르게 이루어지는 곳. 국민을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믿음을 주는 일. 이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보다도 논어를 다시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