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1 - 1896-1945
권영민 지음 / 민음사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현대문학의 역사 : 왜 한국문학인가



한국현대문학사 1권은 1896~1945년, 2권은 1945~2000년으로 시대가 구분되어 있다. 계몽문학부터 산업화 이후 문학까지 시, 소설, 극으로 다양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을 완독하기 위해서는 한국문학에 대해 공부한다는 마음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국어를 전공했지만 대학교에서 내가 들었던 수업은 남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국어국문학과에서는 크게 고전문학, 현대문학, 국어학으로 나누어 수업을 듣는다. (우리학교 기준) 고전문학은 고전시가, 고전소설이 있고 현대문학은 현대시, 현대소설 그리고 국어학은 문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중세국어, 현대국어로 나눌 수 있다. 골고루 수업을 들어야겠다는 처음의 의지와는 달리 국어학 수업을 의외로 많이 듣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졸업 논문은 고전시가로 썼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현대문학에 얼마나 무지했으며 관심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문학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지식도 조금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거창한 문화이론에 대한 지식보다도 기본적인 흐름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대사를 알고 있다면 이 책에 도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만 이 책을 끝까지 읽어내기 위해서는 제목만 알고 있는 한국문학을 본문으로 만나보는 것이 필요하다. 김동인, 현진건, 염상섭, 채만식, 김유정 등의 단편들을 먼저 읽고 이 책을 본다면 더욱 풍부한 해설로 다가올 것이다.




여러 출판사에서 한국문학을 전집형태로 내고 있지만 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은 문학과 지성사의 한국문학전집이다. 민음사 세계문학을 모으는 것처럼 쏠쏠한 재미가 있는데, 민음사 세계문학이 가끔 번역에서 걸리는 것이 있다. 다양한 보유목록을 가지고 있지만 번역의 문제는 읽는 것을 도저히 참을 수가 없게 할 뿐더러 재미도 반감시킨다.




여기에 한국문학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신경숙의 표절 사건이니, 문단의 카르텔이니 하는 문제가 있지만 이것이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을 꺾어서는 안 되며, 또한 읽지 않는 변명이 되어서는 안 된다. 외국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는 수많은 오역과 해석의 문제들. 한국어에서 한국어로 번역이 없이 읽어보는 것은 얼마나 매력적인 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