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에서 나온 용은 하늘로 올라갈 수 있을까?


대장장이 매부 조와 누나가 전부였던 어린 소년 핍은 어느 날 미스 해비셤에게 불려간다. 미스 해비셤의 양녀 에스텔러의 경멸어린 시선을 느끼면서 그의 일상은 달라진다. 곁에 있는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이, 순식간에 천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미스 해비셤의 집과 대조적인 자신의 집안 풍경들, 예의를 모르는 격식없는 행동들이 거슬리기 시작한 것이다. 핍은 막연하게 상류층의 삶을 동경하게 된다. 이 동경은 마치 그럴듯한 것처럼 포장되어서 자신이 언젠가는 여기 대장간이 아닌, 신사가 되는 삶을 꿈꾸는데 이 희박한 꿈은 정말 어이없게 이루어지고 만다. 그리고 위대하지 않게 그 끝을 맺는다.




물론 마지막 결말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핍은 진정한 반성을 한 것일까? 어쨌든 아프고 나서 일어나보니 빚은 해결이 되어 있었고 자신은 도망치듯이 외국으로 떠났기 때문에. 또한 결국 핍 자신이 거부했던 그 유산의 혜택을 마지막에서는 본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왜 우리는 상류층이 되기를 원하는가? 잘 먹고 푹 자고 놀고 싶은 것은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이지만, 우리가 상류층이 되기를 원하는 것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권때문일 것이다. 이제 얼마 후면 없어지게 될 사법시험에 관한 소식도 이와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우리는 사법시험 폐지를 반대하면서 개천에서 용나는 것을 차단해버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왜 굳이 법률가를 뽑는 시험에 개천에서 용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일까? 며칠 전 읽은 기사에 따르면 이는 변호사 수수료와도 무관하지 않으며, 불과 몇 년 전만해도 그들은 2천만원 이하의 소액(그들 기준에서는) 사건은 담당하지도 않으려 했다고 한다. 이는 인구당 변호사 숫자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에서 기인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호사 숫자를 늘리는 것이 필요한데 로스쿨은 이에 대응하는 마땅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이것이 기사의 내용이다.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 시대에 살면서 그러기를 바라는 것, 아니 어딘가에는 그럴 수 있으리라고 희망을 가져보는 것. 물론 이 작은 희망은 이제 곧 사법시험 폐지와 함께 사라지게 될까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이 아닐까.




또 한 가지 교훈은 만약에 내가 누군가를 키운다면 절대로 `프린세스 메이커`처럼 키우지 말아야겠다는 것이다. 어린시절 즐겨했던 게임처럼 특정 능력을 높이고 싶다고 그렇게 크는 것이 아니며, 현실에는 치트키도 없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미스 해비셤의 에스텔러, 프로비스의 핍이 행복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