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도 ​우리는 페스트 속에 살고 있다.


아이러니 한 것은 페스트를 읽는 순간, 우리가 메르스 바이러스에 휩싸였다는 점이다. 재앙이라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오랑 시민들은 휴머니스트들이다. 우리는 아직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속보로 전해지는 감염자의 수 역시 그렇게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 세 명, 열 명, 삼 십명. 숫자는 통계일 뿐이고 아직은 나와 먼 이야기이며, 늘 그렇듯이 내일은 뭘하지 이사를 가야하는데 이런 미래에 대한 계획을 짜 놓는 것이다.


페스트 대응 초기 모습이 지금 우리와 별반 다를바가 없고, 심지어 명칭인 `페스트`를 가지고서도 한참을 의논한다. 이미 사라져버린 질병, 그러나 무시무시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이름만 들어도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페스트. 페스트가 진행되면서 인간은 자신의 모습을 보인다. 영웅주의를 강조하지 않는 측면은 마음에 든다. 우리는 이런 상황에서 늘 영웅을 기대하는데, 선하면서 다른 사람에 맹목적으로 봉사하는 인간의 존재는 현실에서 믿기 힘들다.


어린아이가 죽어갈 때 느끼는 의사 리유의 분노, 그러나 이 마저도 신의 사랑으로 믿는 파늘루 신부. 신부의 죽음은 자신의 믿음을 철저하게 증명한다. 페스트가 아니면서 페스트에 걸렸던 믿음은 신에 대한 믿음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다. 범죄자인 코타르는 오히려 페스트 상황을 즐긴다. 정상이 아닌 상태가 그를 무엇보다 정상적으로 만들어주고 있었다. 사랑에 대한 관념 하나로 탈출을 시도한 랑베르, 마음의 평화를 찾으려는 타루.


메르스 바이러스 상황에서 <페스트>는 단 하나의 교훈을 보여준다. 그것은 낙관적인 미래에 대한 예언은 아니다. 페스트를 이겨낼 의지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은 신에 대한 믿음도 아니고 근거 없는 희망도 아니기 때문이다. 성실성, 각자의 자리에서 성실히 견디면 찾아올 마지막의 순간은 반드시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