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어제는 비가 왔었지.
언젠가 그런 얘기를 들은 것 같아. 가을, 잎을 모조리 버리는 나무를 보면서, 나무가 올 한 해 길러왔던 잎들을 버려야하는 나무의 심정은 어떨까 하는.
아직은 쌀살한 봄에 기지개를 펴고 더운 여름을 이겨내고 잎들을 버리고 겨울을 준비하는 나무.
나무에게는 그게 너무 자연스러운 것이라 어떤 감정을 담기가 어려웠을 거야.
그것은 매일 아침 잠에서 깨어 회사를 나가야 하는 우리의 쳇바퀴와는 다르지.
우리의 쳇바퀴가 인위적인 것이라면 나무가 한 해를 보내는 것은 그야말로 자연적인 것이니까.
<장자, 그 선의 물결>은 장자의 내편을 감산덕청 스님의 주석과 함께 역자의 해설이 한 번 더 들어있어서 장자의 말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야.
장자는 우화를 즐겨 썼는데, 그 유명한 장자의 꿈. 내가 나비인지 혹은 장자가 된 꿈을 꾼 것인지.
또 나무와 관련된 우화도 몇 개 있어.
유용성이 없는 나무라고 홀대하는 사람에게 그 나무가 발끈, 하는 장면이 있거든.
세상의 모든 것을 어떻게 이분법으로 나누겠어.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도 그렇고 삶과 죽음도 마찬가지지.
내가 언제부터인가 나라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인지, 생물학적인 탄생 말고 ‘나‘라는 인식의 시작이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르지. 또 내가 죽고 나서 ‘나‘라는 인식이 어디로 가는지는 알 수 없지.
없음에서 내가 탄생했듯이, 내 형태도 언젠가는 없음의 상태로 돌아가게 될 거야.
그렇지만 지금 가지고 있는 형태를 억지로 버리거나 함부로 다루어도 된다는 건 아니야.
자연스러움, 스스로 그러함에 맞추어 살아야지.
잘 죽는다는 것은 결국 잘 산다는 것이니까.
집착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하는 것.
"지금 그대는 큰 나무를 가지고서 그것이 어떤 쓰임도 없다고 걱정하는가. 어찌하여 어떠한 있음에도 없는 고향인 광막한 들에 큰 나무를 심고 그 곁에서 함 없이 방황하고 그 아래에 누워 자면서 소요하지 않는가! 도끼에 찍혀 요절하지도 않고 사물이 해치지도 않는다. 쓸 만한 곳이 없으니 무엇 때문에 괴로워 할 것인가?"
"태어남을 기뻐하는 것이 미혹이 아닌지 내 어찌 알겠소? 죽음을 싫어하는 것이 타향으로 돌아다니다가 고향으로 돌아갈 줄 모르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닌지 내 어찌 알겠소? 꿈에서 술을 먹은 자가 아침에는 곡을 하며 운다오. 꿈에서 곡을 하며 울었던 자가 아침에는 사냥을 나간다오. 그가 꿈꾸고 있을 때는 그가 꿈꾸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오. 꿈꾸는 가운데 또 그 꿈을 점치기도 한다오. 깨어난 뒤에야 그가 꿈꾸었음을 안다오. 또한 큰 깨어남이 있은 뒤에야 그것이 큰 꿈이었음을 안다오. 그러나 어리석은 자는 자신이 깨어 있어 명백하게 안다고 여긴다오. 임금이니, 목동이니, 고루한 공구도 당신과 함께 모두 꿈을 꾸고 있소. 내가 그대는 꿈꾸고 있다고 일컫는 것 역시 꿈이오. 이러한 꿈 이야기를 ‘지극한 괴이함‘이라 한다오. 만세 뒤에라도 이 이야기의 의미를 아는 큰 성인을 한 번 만날 수 있다면 우연히 아침 저녁으로 두 번 만난 것이나 다름없는 행운이오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