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방법 - 잊지 않으려는 기록
유시민 외 지음, 이동호 사진 / 도모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2014년 4월 16일 우리는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침몰하는 것을 보았다. 전원구조라는 언론의 오보를 믿고 처음에는 안도했었고, 오보임을 알게 된 후에도 많은 선박과 헬기가 구조하는 모습을 보면서 모두 무사히 구조될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무려 304명의 희생자를 내었고 사고가 난 지 무려 열 달이 다되어가는데도 아직 9명의 실종자가 남아있다.

 

  세월호 참사에서 국가가 보여준 것은 무능력의 극치였다. 컨터롤 타워가 아님을 주장하는 청와대는 물론이고 해수부, 안전행정부, 해경, 특수부대에 이르기까지 이렇게 무능력한 국가에 산다는 것이 부끄러울 정도였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정부가 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물에 빠졌는데 단 한 명도 구조하지 못했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것이 어떻게 나라이고, 이런 정부를 어떻게 정부라 할 수 있을까?

 

  가만히 있으라는 어른들의 말을 잘 듣던 아이들은 모두 수장되었다. 상식과 정의가 수장되는 순간이다. 상식과 정의가 사라져버린 국가. 그래서 상식과 정의를 다시 세우기 위해 누구는 도보순례를 하고, 또 누구는 촛불을 들었다. 광화문 농성장을 지킨 이도 있었고 유가족과 함께한 이도 있었다. 왜 그랬을까? 알지도 못하는 아이들이지만 어른으로서 미안함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유가족들이 마지막으로 기댄 곳은 청와대였다. 남은 한 명이라도 끝까지 찾겠다고 한 약속, 언제든 찾아오라던 그 약속, 열 자식 굶기지 않는 자식 사랑하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국민을 섬기겠다는 그 말이 허울뿐 임을 확인하는데 76일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사고로부터 얻은 교훈은 부실한 정책과 불성실한 권력을 감시해야 하고 타락한 언론을 퇴출하고 사회제도와 구조를 고쳐 나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두 달 후 있었던 선거에서 심판하지 못했다.

 

  가슴 아픈 기억은 잊어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가슴 아픈 기억 중에는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기억도 있다. <기억의 방법>은 세월호 참사의 사진을 한 명이라도 더 기억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출판사 대표의 주장에 이동호 사진작가가 자신이 찍은 사진과 방송인 김미화, 이정렬 전 창원지법 부장판사 등 여러 사람의 글을 받아서 출판한 책이다.

 

  읽는 내내 가슴이 아프고 눈물이 앞을 가린다.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을 외치는 시위에도 많이 나갔고, 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활동도 참 열심히 했는데 아직도 세월호 참사는 진행 중이다. 아니 어쩌면 권력으로 진실을 덮으려고 하는 분위기가 곳곳에서 감지된다.

 

  유대인을 학살하던 곳, 아우슈비츠 수용소 입구에는 “망각은 노예의 길이요, 기억은 구원의 신비”라는 말이 새겨져 있습니다. 기억함으로 진실을 보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있는 글귀입니다. -p26

 

  이유 없이 죽어간 아이들을 대신해서 진상규명은 반드시 해야 할 우리에게 남겨진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