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부모들의 자녀 교육법 - 아이들을 하버드에 보낸 8인의 비밀노트
변윤숙 외 지음 / 물푸레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하버드 부모들의 자녀교육법
주위에서 누구네 아이가 하버드에 갔다고 하면 와, 대단하다 하는 감탄과 함께 동시에 떠오르는 생각이 그 아이는 어떻게 공부했을까, 그 집은 자식 교육을 어떻게 했을까 하는 생각일 것이다.
그리고 가서 물어보고싶지 않을까? 과연 어떻게 해서 그렇게 키울 수 있었는지.
한 명도 아니고 여덟 이상, 그리고 형제들을 동시에 하버드에 넣은 집도 있다. 거기다 자리 잡기에도 바빴을 이민자들의 자녀가.
읽어보면 느끼게 될 것이다. 단지 부러움에서 끝나지 않고 아, 정말 아이들은 이렇게 키워야겠구나 하는 생각을.
그냥 공부만 잘 하는 아이들이 아니었다. 자신의 꿈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한편, 자신과 주위를 둘러싼 다른 이들을 함께 생각하고 배려하며 자신의 시간을 마음을 내어주는 아이들.
하버드는 그냥 SAT나 AP 성적만 좋다고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공부는 물론 양보다 질이라는 하버드의 입학 사정관제의 의미라서만이 아니라 그 아이들은 진정 다른 이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지닌 아이들이었다.
그리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진정 무엇인지 찾을 수 있는 눈과 클럽활동을 하는 데에도 창의력과 자신들의 끼가 발휘되었다.
또한 부모들도 재력이 탄탄해서가 아니라 자녀에 대한 믿음과 사랑, 자녀를 위해서 직장을 그만두고 손수 간식을 만들거나 맹모삼천지교처럼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이사를 하거나 혹은 아직 어린 자녀가 걱정은 되지만 스스로 독립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등 치열한 생활고 속에서 그들 나름대로의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세탁업을 하고 목회일을 하고 사업을 하는 등 이민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을 걸으면서도 부모가 먼저 흔들리지 않는 자세를 보여주었고 보다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아이들의 성격과 가치관, 좋아하는 분야에 따라 달리 대응하기도 했지만 이 책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들은 다양한 독서와 경험, 미래에 대한 고민과 자신감, 훌륭한 인성을 지닌 아이들이라는 점이었다.
우리나라의 교육제도나 환경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이 많지만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니 어쩔 수 없다는 말을 할지라도 공부가 무엇보다 우선이 아니라 진정한 봉사 활동이나 인성이 중요하다는 걸 깨우쳐 주는 건 우리의 현실이 어떠하든 가능하고 그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를 키우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시간을 갖게 한 책이다.
마지막 장을 넘기면서 처음과는 또 다른 탄성을 내질렀다.
부러움, 질투, 존경, 반성, 희망의 감정이 마음속을 들락거리게 하는 책이라는 추천사가 딱인 책이 바로 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