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지기 때문에 놀러 왔지 (양장) - 조선의 문장가 이옥과 김려 이야기
설흔 지음 / 창비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멋지기 때문에 놀러왔지

 

세종 대왕 이후로 가장 똑똑하고 현명한 군주라고 일컬어지던 임금. 드라마나 역사 소설 속에서 미화된 모습 이면에 권위적인 군주로서의 또 한 면모를 볼 수 있었던 책이다.

현대인들이 많이 사랑하고 연구하며 푹 파묻혀 청춘을 바치기도 하는 연암의 글. 가장 생활 속 이야기를 잘 들여다볼 수 있도록 자세하게 묘사한 산문식의 글이 고문체의 틀에 박힌 형식을 따르지 않았다 하여 문체반정으로 감옥에 가두고 귀양을 보냈던 정조.

고생하는 가족을 생각하면 뜻을 꺾고싶은 유혹도 생길 것 같건만 글을 쓰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는 이옥.

이옥의 글을 좋아하고 높이 평가하지만 그와의 인연으로 반평생을 고생하며 그와의 인연에 고개 돌릴 수밖에 없었던 김려.

자존심을 버리고 겨우 하나 얻은 현감 자리, 꿈에서도 식은 땀을 흘리며 괴로운 귀양살이의 괴로움을 건들건들 한량으로 보이는 이옥의 아들이 갑자기 찾아와 그 아버지의 글을 사달라 하며 글을 통해 이옥과 대화를 이어가게 된다.

이야기의 구성이 참 매력적인 글이다. 또한 애절한 분위기가 작품을 읽는 내내 가슴을 흐르고 그 끓어 넘치던 열정이 그대로 느껴져 더 안타까웠다.

끝까지 고집 부리는 아이를 일부러 더 야단치고 그게 더 괘씸해 화를 내는 것처럼 정조의 마음도 한편 이해가 가지 않는 것도 아니었으나 그 고문체라는 것만 그토록 거룩한 것이었는지 내가 다 서운해진다.

귀양길을 가는 동안 모질게 했던 이들, 그래도 인정으로 배려해주었던 이들, 부령에서의 인연과 김려의 글, 그의 행적을 좇아 다시 글을 썼던 이옥의 글. 거친 눈발 날리는 산 속에서 시린 달을 보는 기분이다.

만약 정조가 한 걸음 물러나 그들의 글을 인정해주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시린 가슴에 눈물이 맺힌다.

이옥이 남긴 멋진 글, 평생 잊어 본 적이 없다던 그 순간의 기록을 마지막까지 읊조리며 나도 그들 속에 있는 기분이 든다.

바람이 메말라 까실까실하고 이슬이 깨끗하여 투명한 것이 음력 팔월의 멋진 절기다. 물은 힘차게 운동하고 산은 고요히 머물러 있는 것이 북한산의 멋진 경치다......중략

간 곳마다 멋지고, 머무른 시간마다 멋지고, 보고 듣고 느끼는 것마다 멋지고, 함께 간 이들의 마음 마음이 또 멋지고.

그래서 놀러왔단다. 이렇게 멋지기 때문에 놀러왔다고.

마지막까지 붓을 꺾지 않았던 그들이, 그들의 글이, 그들의 삶이, 우정이 멋져서 나 역시 놀러갈 수밖에 없었다.

멋지기 때문에 놀러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