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 풍경과 함께 한 스케치 여행
이장희 글.그림 / 지식노마드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서울에 가게 되면 어디 어디를 가보고 하면서 설레는 마음으로 수첩을 끄적거렸던 적이 있다.

이름난 미술관과 국립 중앙 박물관, 인사동 거리, 스쳐 지나가다 보게 된 예쁜 간판의 찻집과 크고 작은 미술관들,

덕수궁 돌담길과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고궁들을 돌아보며 서울의 시간과 향기를 더듬었던 적이 있다.

꽤 오래 전 일이지만 아직도 그때의 설렘은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아기자기한 책 표지 그림이 눈으로 마음으로 쏙 들어온다.

표지 그림을 넘기자 병원 물리치료를 받으며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그림으로 스케치하고 담았다.

그 풍경 하나에도 짧은 글 속에도 작가의 진솔함과 세상을 보는 고운 눈길이 느껴진다.

이 책 꽤 괜찮을 것 같다.

 

서울을 둘러싼 인왕산과 북악산, 서울 성곽, 남산, 숭례문, 효자동, 경복궁, 광화문 광장, 정동, 명동, 청계천, 혜화동.....

서울이 한 손바닥 안처럼 보인다.

오랫동안 서울에서 살아왔지만 서울을 알지 못한다는 그.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고, 백지 위에 남긴 그림자 위로 보여주는 풍경은 아, 그는 서울 사람이구나, 서울을 아는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서울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곳. 그렇다. 바로 경복궁이다.

글 하나 하나 풀어나가는 방법도 참 친근하고 정겨운 느낌이 든다. 그가 직접 나눈 친구와의 대화를 그대로 함께 나누는 것처럼.

근정전의 편액의 글에 획이 하나 작았던가? 여러 잡상의 의미와 팔작지붕, 상월대, 하월대, 이중기단. 직접 눈으로 보는 것보다 어쩜 더 자세히 보게 되는 것 같다.

차마 색이 너무 화려해 칠해볼 엄두도 내보지 못했다는 죽은 자의 가마. 그 역설적인 의미에 괜시리 마음이 짠하다.

 

명동 가서도 모르고 그냥 지나칠 비석, 이근석을 위한 추모비와 광고판이 가리고 있는 걸 끄집어 내어 보여주는 윤선도 집터 표지석,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긴 정도전의 집터. 겉으로만 둘러보고 운치를 가늠했던 덕수궁 돌담길을 그의 그림과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새삼 서울의 모습을 다시 보게 된다.

서울 구석구석 누비는 느낌이 예전과 사뭇 다르다. 그냥 멋모르고 돌았던 길이라서가 아니라 정말 서울을 살아온 서울 사람의 이야기이기에 그럴까.

일반적인 서울 고궁에 관한 책이나 서울 거리거리를 소개한 책과는 전혀 다른 느낌의 책이다.

 

읽으며 내가 내린 결론은 이러하다.

그가 단지 서울 사람이라서 서울에서 오랫동안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서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서울을 사랑하는 서울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관심은 세상을 사랑하게 만드는 가장 쉽고 긍정적인 방법.

바로 이것이 이 책을 만든 원동력이 아닐까. 그가 세상을 살아가고 바라보는 방법이 아닐까 감히 짐작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