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대안학교 졸업생이야! - 대안학교를 꿈꾸는 학부모, 학생들을 위한 졸업생 15인의 리얼 보고서
김한성 외 14인 지음 / 글담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나? 대안학교 졸업생이야
우리 동네 아이들도 1학년부터 보습학원, 단과학원을 간다.
저학년인 아이도 벌써부터 내일은 눈 안 오나 큰비 안 오나 이런 소리를 한다.
폭설이 내려 학교에 가지 못한 날이 있었는데 다시 또 내리면 안 가게 되는 날이 생긴다는 거다.
초등학생도 중학생도 바쁜 시간에 쫓겨 아이들끼리 모여 노는 시간은 별로 없단다.
아니 모여 놀고 싶어도 다들 학원에 가야 하니 모일 시간이 없단다.
그러니 입시를 앞둔 고등학생들은 오죽할까.
그렇게 빡빡한 일정과 많은 학습량, 너나 할 것 없이 아이들을 줄 세운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지만 우리 아이들의 현실은 성적순으로 행복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목중, 특목고를 다닌다 하면 대단해 보이고, 그곳 진학을 위해 어려서부터 계획을 세우는 집들도 있다 한다.
아직까지도 그런 열풍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대안 교육이 머리를 내밀고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 것은 그리 오래지 않았다.
대안 학교라고 하면 그저 학교에서 적응할 수 없는 심한 문제성을 지닌 아이들이 가는 곳이라고 알았었다.
산청 간디학교, 양업고등학교,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한빛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화랑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최근에야 이름을 들어보고 관련 책을 보아서 알게 된 학교들도 있고 처음 접해보는 이름의 학교도 있다.
교육 혁신 새로운 교육 공동체를 꿈꾸는 이들의 요람.
과연 그곳은 어떻게 교육을 하고 그곳 아이들은 정말 행복할까.
그리고 졸업해서는 어떻게 하는지 그 이후도 궁금했다.
정말로 원해서 하는 공부, 자신의 꿈을 찾아 스스로 선택하고 길을 열어가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아이들.
이 책 속 아이들은 그랬다.
물론 고민도 하고 아직까지 대안학교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의 시각과 제도적 마련이 부족한 현실이지만
입시 도구로서의 공부가 아니라 다양한 체험과 사회적 활동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조화를 배우는 교육이 우리 일반적인 교육에서도 배워가야 할 점이 보인다.
대안학교 1세대 졸업생 15명의 사회 진출 후 10년만에 돌아보는 대안학교 이야기는 막연한 대안학교에 대한 환상이 아니라 이 사회, 우리 현실 속에서의 대안학교가 어느 만큼 와 있는지를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대안 교육의 장점과 단점을 함께 바라보며 앞으로 대안 학교가 나아가야 할 점과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할 바도 함께 생각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