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아침, 학교에 가지 않기로 결심했다 ㅣ 파랑새 청소년문학 7
J.M.G. 르 클레지오 지음, 김예령 옮김, 박형동 그림 / 파랑새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오늘 아침, 학교에 가지 않기로 결심했다
2008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르 클레지오의 작품이다.
그 명성을 듣고 그의 작품을 한 권 읽은 적 있다.
데뷔하여 '현대 프랑스 문단의 살아 있는 신화'로 일컬어지는 르 클레지오.
참 대단한 작가라고 생각했었다.
그 이름 하나만으로도 설레이고 떨렸던 글.
조용하면서도 사색적이며 그 가운데에서 어린 소녀의 마음과 그를 둘러싼 세상을 읽기.
이 책을 나는 그리 정의하고싶다.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에는 얇은 두께와 달리 내용깊숙히 다가서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연달아 두 번을 읽었다.
어머니는 사고로 자리에 누우시고 먼 나라에 가 있는 아버지를 둔 륄라비.
어느날 학교에 가지 않기로 결심하고 찾아간 바닷가.
철저히 혼자임을 선언하고 먼나라에 있는 아버지에게 편지를 쓴다.
친구에게서도 가족에게서도 집에서도 떨어져 태양이 강렬히 내려쬐는 바닷가에서 두 팔을 벌리고 '해마시기'를 한다.
어린 소녀의 해마시기.
나는 이 장면에서 쇼생크 탈출의 유명한 한 장면을 떠올렸다.
만끽하는 자유. 소녀도 마찬가지였을까?
사춘기를 맞은 소녀의 정체성 찾기 위한 방황.
그 내면은 책 속 용기를 잃지마시오, 아마도 물고기로 끝날 일과 같은 평평한 큰 바위에 분필로 쓴 문장이 암시하는 걸로 보인다.
륄라비의 가출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어른의 기준과 잣대로 보는 인물이 나온다.
그러나 륄라비의 가출에도 별 말 없이 륄라비가 하는 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인물도.
나는 어느 쪽의 어른일까?
책을 읽다 잠시 멈추어서서 생각해보았다.
길어질지도 모른다는 어른의 입장에서 륄라비의 가출을 걱정스러운 눈으로 지켜본 나.
륄라비에게 후자의 인물과 같은 이가 있어서 다행이다.
서정적이면서도 인물의 내면 심리를 사색적으로 풀어쓴 르 클레지오의 청소년 소설.
사실 르 클레지오가 청소년 소설을 쓸 거라 예상 못했다.
그랬기에 더 신선한 충격이었고, 산뜻한 글과 글에 어울리는 일러스트, 륄라비와 함께 해마시기를 한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