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어주는 엄마 - 아이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육아 코칭
이와이 도시노리, 시도 후지코 지음 / 파프리카(교문사)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오늘도 여지없이 큰소리가 오고 갔다.
육아서를 읽으면 그날만큼은 조심을 하건만.
늘 아이 키우기가 쉽지 않다는 핑계로 육아서의 내용과는 다른 태도로 아이들을 대하는 자신을 변명해보곤 하지만 결국 자기합리화일 뿐 크게 바뀌지 않는 나 자신을 보면서 오늘도 반성한다.
이 책을 받으면서 책을 읽고 글 쓰는 일이 반성문이 되지 않기를 바랬었다.
나는 좋은 엄마는 아닌가 보다.
그래도 노력은 하는데 말이다.
책에서 저자가 이야기하는 것처럼 나도 자책감과 자기비하가 언제나 보이지 않는 그림자처럼 내 마음을 무겁게 누르고 있었다.
쏟는 만큼 아이들은 엄마의 사랑을 더 간절히 바라고 따뜻한 눈빛, 다정한 음성을 기대하지만
늘 빨리 빨리를 외치는 엄마와 많은 다른 것에 관심과 호기심을 보이는 아이들과의 갈등은 하루도 빠짐없이 되풀이되면서 점점 큰목소리로 바뀌어 갔다.
아이들의 다양성과 특성을 잘 알고 인정해야 하지만 양떼몰이 하듯 이쪽 저쪽 가리키며 다른 데 눈을 돌리지 못하도록 그렇게 하지 마, 이렇게 하지 마 하면서 아이들도 나도 지쳐간다.
잘 개어놓은 옷은 꺼내거나 만지지 못하도록 해야 하고 열심히 잘 갖고 논 장난감은 어김없이 제 자리를 찾아 가야 하고, 다 읽은 책도 제 자리에 얌전히 갖다 놓아야 하건만 잘 그러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매번 혼을 낸다.
그러면서 왜 엄마 말을 듣지 않는 거니, 몇 번이나 말 해야 듣겠냐고 화를 내고.
하루에도 몇 번씩 같은 말을 꺼내 들었다 놓았다 했었다.
왜 엄마 말을 듣지 않는 거니 라고.
사실 아이들의 마음을 읽고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것은 내가 먼저다.
그런데도 목소리가 더 크고, 아이들보다 덩치가 더 크고, 더 많이 살았고 더 많이 세상을 안다는 이유로 늘 같은 소리로 크게 소리쳤던 것이다.
아이의 눈높이가 아니라 아이의 가슴높이에 맞춰라는 빨간 띠지의 말이 마음에 크게 와 닿았다.
버리지 마세요의 아이의 시를 읽고 많이 생각했다.
아이의 눈높이가 아니라 가슴높이에 맞추자.
내 이야기를 많이 하지 말고 먼저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자라고.
책을 읽고 아이들에 대한 내 양육태도가 360도 확 달라졌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래도 무심결에 큰소리를 내다가도 멈칫 멈추기도 하고 보다 부드럽게 이야기 하려고 노력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너가 아니라 내가.... 라고 이야기를 말하려고 애쓰고
한 마디 한 마디 되도록 아이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으려고 노력하는 스스로를 그래도 좀 달라졌구나 위로해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