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가 준 보자기 옛이야기는 내친구 3
서정오 지음, 김은정 그림 / 한림출판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온 날 아빠가 일찍 집에 왔다.

씻고 저녁을 먹기 전 아이들을 보듬어 안고 거실 입구에 놓인 책을 집어들고 와서 읽어준다.

예전에 읽었던 육아책에서 엄마가 아이들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도 좋지만 굵직한 테너의 아

빠 목소리가 아이들에게 닿는 좋은 영향이 더 크다는 말이 있었다.

눈을 빛내며 아이들이 아빠 앞에서, 옆에서 조롱조롱 어울려 앉아 진지한 태도로 책 읽는 것을 보니 그때 읽었던 말이 생각이 났다.




전체적으로 겨울이 배경이다. 겨울 배경의 은은한 동양화같은, 수묵화같은 느낌이 배어나는 커다란 그림이 영화처럼 이야기 줄거리에 맞춰 이어진다.

첫 장면의 다 쓰러져가는 오막살이 초가집의 떠꺼머리 총각

두 번째 장면의 엉덩이를 까 내린 채 배를 앞으로 내밀고 뒷문을 열고 뒷산쪽에다 대고 오줌을 누는 장면이 우습다.

그림을 보면서 아이들은 상상을 한다.

그리고 이어질 뒷 이야기를 궁금해 한다.

그러면서 이야기 속으로 빠져드는거다.




붓글씨 모양의 글씨체가 많지 않은 문장으로 오랫동안 마음에 남을 교훈을 남겨 준다.

글을 읽는데 구수한 할머니의 목소리가 머릿속에 들리는거다.

입말로 되어 있어 더 정겹고 친근하다.




오줌을 누면서 자신만 춥다고 느끼는게 아니라 함께 사는 우리 이웃 뒷산 호랑이까지 걱정하는 따뜻한 마음이 복을 불렀나 보다.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총각이었다면 산신령의 노여움에 벌을 받았을텐데.

총각의 마음을 알고 죄를 용서한 산신령과 호랑이도 착하고 좋다.

무섭기만한 산신령이 아니어서 더 좋다. 인심 좋은 할아버지처럼 느껴진다.

떡 하나만 주면 안 잡아 먹지의 호랑이와 달리 인간적이고 가까이 살고싶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산신령 할아버지에게서 얻어다 준 보자기.

참 신기하기도 하다.

머리에 쓰니 새가 하는 말이 우리 사람이 하는 말로 들린단 말이지.

그런 보자기 나도 한 번 써보고 싶단다. 아이가.

아이뿐만이 아니라 나도 써보고 싶다.

우리들 사람의 생각은 이런데 늬들 생각은 어떻니 하고 말이다.

그냥 우연히 얻은게 아니라 비단결 같은 착한 마음을 지녔기에 복을 받은 것이다.

평상시에 우리도 그런 착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야겠다라는 교훈을 준다.

부잣집에 장가들어 복스럽게 산 뒤에도 더러 새 소리도 듣고 남 좋은 일도 해 가며 오래오래 잘 살았다하니 참 잘 된 일이고 잘 하는 일이다.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면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과 좋은 교훈을 주는 전래 동화.

나도 어렸을 적에 전래 동화나 명작 동화를 읽으며 자랐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며 신나는 상상의 세계의 즐거움과 깊은 생각을 하게 하고 마음을 키워주어야겠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좋은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감동적인 법이다.

지금 책을 읽고 좋아서 떠드는 아이들도 그렇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