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난한 작업을 위해 목회자는 자신의 소명을 다시금 점검해야 합니다. 교회는 교회 대로 왜 우리가 교회로 모이는지, 어떤 교회를 세워가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코로나 시대를 지나며 한국 개신교회는 바닥을 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동안은 바닥을 파고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봉천 교회 이야기를 통해 처음 접한 단어 "사회 안의 교회"처럼 교회가 사회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나는 이 단어를 세상 속 교회로 이해합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교회는 세상의 소금, 세상의 빛이라는 진리를 견고하게 붙들어야 합니다. 지역 교회는 그 지역 속으로 들어가 지역 사회 속에서 자신을 녹이고 태워 지역사회를 섬기고 살리는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섬기는 교회, 세상과 적극 소통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지요. 이 지점에서 전도해서 예배당에 앉히려는 생각은 저기 저 안드로메다로 던져버려야 할 테고요.
강화군 하점면에 자리 잡은 성도가 채 100명도 되지 않는 봉천 교회의 역사, 봉천 교회 이야기를 읽으며 지금 나의 모습을 돌아보고, 나의 실패를 곱씹어 보고, 한국 교회가 걸어가야 할 방향성을 조율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한국 교회에는 저마다의 이야기를 가득 안은 교회가 많을 것입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이런 식으로 담아내고 지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런 식으로 담아낸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지금 추락한 한국 교회가 다시 일어나 세상의 소금이 되고 빛이 되지 않을까? 이렇게나 텁텁하고 답답한 세상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의 마음을 시원하게 하고, 그들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는 교회로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장밋빛 상상도 펼쳐보았습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목회자, 코로나 시대를 지나며 목회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고 고민하는 목회자와 교회 지도자, 교회의 교회다움에 관심을 가진 평신도 지도자들이 이 책을 읽으면 좋겠습니다. 봉천 교회 이야기를 읽으며 자신이 속한 교회의 이야기를 읽어내고, 지역사회 속에서 어떤 교회로 자리매김해야 할지 고민하고, 이 난리 법석인 시대 속에서 회복해야 할 교회다움이 무엇인지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그때에 비로소 교회는 또다시 세상의 소망이 될 테니까요. 세상에 소망을 주는 교회로 거듭나게 될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