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보물창고, 도서관의 역사 - 두루마리부터 가상현실까지 도서관 이야기
모린 사와 지음, 빌 슬래빈 그림, 빈빈책방 편집부 옮김 / 빈빈책방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오늘도 보물섬에 간다. 


보물섬을 찾았습니다.

지금도 일주일에 한 번은 보물섬을 찾고 있습니다. 

그것도 온 가족이 함께.

우리 가족이 찾은 보물섬은 바로 "도서관"입니다.


도서관의 역사는 얼마나 되었을까요? 도서관은 어디서 시작했을까요? 어떤 책을 보관했고, 왜 그랬을까요? 도서관에 처음 보관한 책은 어떤 책이었으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을까요? 도서관을 생각하다 보면 저절로 떠오르는 질문이 적지 않습니다. 이 까다롭고 복잡해 보이는 질문에 대해 차근차근, 놀랍도록 예리하게 대답해 주는 책이 나왔습니다. 바로 [지혜의 보물 창고, 도서관의 역사]입니다.








1장은 도서관 역사의 시작입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함무라비 왕이 세운 바빌로니아의 보르시파 도서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도서관, 고대 중국의 도서관과 진시황제의 분서갱유(이건 정말...), 고대 로마의 개인 도서관, 고대 로마의 공공도서관 이야기를 촘촘하게 무엇보다 재미있게 담았습니다.


2장은 암흑시대입니다.

암흑시대 도서관의 운명은? 고대 도서관은 왜 몰락했는지,. 수도원 도서관은 왜 등장했는지 보여줍니다. 암흑시대에 책의 수호자의 역할을 맡았던 수도원과 수도사의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책을 베껴 쓰면서 자연스레 글쓰기가 발전한 과정도 들려줍니다. 중세 이슬람 세계의 발전이 도서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고, 비잔티움 제국의 제국 도서관 이야기도 소개합니다.


여기서 잠깐. 중세 시대(흔히 암흑시대라 불리는)는 그야말로 책의 수난시대였습니다. 지성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예수의 가르침을 무겁게 여긴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책을 지키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이교도의 책까지도 필사해서 보관하면서까지 인류의 자신을 지키는 일에 자신을 드렸습니다. 그것도 침침한 불을 켜놓은 곳에서 한 글자 한 글자씩 필사했습니다. 시력을 잃어가고, 등허리가 굽어가고, 거북목이 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이 점을 생각하면 지금 우리는 최소한 중세 그 암흑의 시간을 뚫어낸 기독교와 수도사들에게 빚을 지고 있는 셈입니다. 인류 역사에 등장한 대학도 같은 맥락에서 보아야 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대학을 나온 사람이라면 좋던 싫던 상관없이 예수에게 빚을 진 셈이라는 뜻입니다.








3장은 황금기입니다.

암흑기가 있다면 당연히 황금기도 있어야겠지요. 인쇄기의 발명으로 시작한 도서관의 황금기와 책의 보급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우리나라 금속활자 이야기도 빠질 수 없겠지요(겁나 자랑스럽다는...), 가동 활자 발명이 유럽 사회에 끼친 영향과 종교개혁 이야기까지 인쇄 문화에 얽혀 있다는 진실을 보여줍니다. 바티칸 도서관 이야기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보들리언 도서관, 책 기부 문화, 우리나라 도서관 이야기가 빼곡한 챕터입니다.


4장은 새로운 세상으로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세상은 신대륙 발견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최초의 회원제 도서관, 책의 대중화로 대두된 도서관의 역할, 지금까지 이어져온 개인 발전을 위한 책 읽기, 앤드류 카네기의 성공이 도서관과 엮어 있다는 비밀까지. 또한 다양한 도서관이 등장한 과정을 친절하고 재밌게 들려줍니다.


5장은 미래의 도서관 여행입니다.

미래의 도서관은 어떤 모습일까요? 상상해 보신 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이야기로 이 챕터의 포문을 엽니다. 참 멋진 구성이라 생각했습니다. 변하는 시대에 도서관의 역할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적의 도서관 이야기와 다문화 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첨단 기술의 옷을 입은 디지털 도서관의 모습까지 미래에도 각광받을 도서관을 상상해 보는 챕터입니다.


마지막엔 부록과 같은 챕터가 있습니다. 이 챕터에 마음이 많이 끌렸습니다. 참고 자료, 도서관 웹사이트, 도서관 협회, 전자도서관 등 주옥같은 정보를 빼곡하게 담아 놓았습니다. 책을 펼쳐들고 구경하고 싶은 곳을 찾아들어가고 싶게 만드는 곳입니다.








어제도 아내와 함께 도서관에 가서 아들딸 읽을 책을 잔뜩 빌려왔습니다. 단순히 재미 위주로 독서하는 편이지만 작년 한해 동안 천 권 이상의 책을 읽은 아들딸이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도 책을 가까이하면서 인류의 보고를 마음껏 탐험하길, 책을 통해 수많은 지성과 깊은 대화를 나누길, 내면이 더 건강해지고 튼튼해지며 높고 아름다운 상상력을 가진 사람으로 자라길 기대합니다.


[지혜의 보물창고, 도서관의 역사]를 읽으면서 도서관의 고마움을 다시금 깨우쳤습니다. 도서관을 더 사랑하게 됐다고 해도 지나친 표현은 아닐 것 같습니다. 책 읽지 않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책보다는 영상이 더 익숙한 시대입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책의 가치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방식이든 아날로그 방식이든 책을 가까이하고, 지혜를 전수하고 보존해 가는 일은 아름답습니다.


가까운 도서관으로 가보시길... 도서관 회원 가입도 하고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도서관이야말로 언제든 찾아갈 수 있는 인류의 보물섬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