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그건 당신이 잘못 생각한 거야. 기회가 왔을 때 잡아. 앞날을 미리 걱정할 필요는 없어."

인간은 수없이 많은 사람들을 만나지만 왜 딱 한 사람에게만 반하는 걸까?

사람은 끊임없이 위험에 노출된다는 걸 샘은 어느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안다고 해서 그런 상황이 저절로 피해가는 건 아니었다.

삶을 변화시켜서 어쩌라는 것일까?



샘은 이미 인생의 중대한 굴곡을 경험했고, 변화는 그것으로도 충분했다

지금은 삶을 변화시켜야 할 때! 이젠 달라져야 해!

줄리에트는 자기 아닌 다른 사람을 연기할 때만이 자신의 존재감을 느낄 수 있었다.

다른 누군가가 될 때만이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었다.

아직 내면에 채워 넣어야 할 빈 공간이 많았고, 인생은 늘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았다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건 바로 자네 자신이야. 이봐, 내가 아직 자네처럼 젊고, 건강에 자신이 있다면 매일 저녁 나 같은 늙은이와 노닥거리느라 아까운 시간을 허비하지는 않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의 일본어판 제목은 『자신의 일을 만들다』自分の仕事をつくる입니다. 하지만 "회사를 그만두고 독립하라"는 메시지를 담은 것은 아닙니다.

당신이 일하는 방식을 알려주세요

눈앞의 책상·그 위에 놓인 컵·귀에 들리는 음악·펜과 종이. 이 모두는 누군가가 만든 것이다.

가로수 같은 자연물조차 누군가가 한 일의 결과로 그곳에서 자란다.


교육기관을 졸업한 후 우리는 살아가는 시간 대부분 동안 어떤 형태로든 일에 종사하며, 그렇게 누적된 것들이 사회를 형성한다.

우리가 수많은 타인의 ‘일’에 둘러싸여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는 말이다. 그런데 그 일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무엇을 전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터 드러커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완벽은 언제나 나를 피해갈 테지만 그럼에도 나는 끊임없이 완벽을 추구하리라"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완벽을 간절히 열망했지만 끝끝내 도달할 수 없다는 사실도 겸허히 받아들였던 거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식도 필요하지만 에너지 재충전을 위해선 새로운 자극이 필요합니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탈진 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인자입니다.

마음이 힘들다고 자기계발 유튜브만 주야장천 보지 말고 감성을 채우는 음악을 듣는 게 훨씬 낫다는 뜻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