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형철이라는 글쓰는 이가 있었더랬다. 소설가도 아니고 시인도 아니지만 시와 소설들에 대해서 글을 쓴다. 그렇다. 비평으로 밥벌이를 하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나는 문학의 언저리에서 책을 읽어 왔지만 문학을 논하는 글들을 잘 읽지 못한다. 세간에서 말하는 비평집들 말이다. 또한 비평집을 읽고 그것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는 것도 힘들어 한다.

 

신형철 씨의 글은 <몰락의 에티카>를 처음 접했고 두 번 째가 <느낌의 공동체>였다. <몰락의 에티카>의 경우에는 700 쪽이 조금 넘는 분량을 자랑하는 두꺼운 책이다. <느낌의 공동체>는 <몰락의 에티카>에 비하면 얇은 축에 속하는 약 400 쪽의 분량이다. 쪽 수만으로도 두 권 다 읽기 만만한 분량은 아니다. 다행스러운 것이라면 모든 쪽이 하나의 주제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다 분절되어 있어 읽는 호흡을 끊어 갈 수 있다는 점이다.

 

<몰락의 에티카>의 경우에는 평론집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지만 <느낌의 공동체>의 경우에는 에세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 두 권을 다 읽어보면 사실 <느낌의 공동체>가 그냥 에세이집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몰락의 에티카>에 비하면 에세이집에 가깝다고 말해야 옳다.

 

<느낌의 공동체>는 신문 지면을 통해서 발표된 글들을 모은 것이다. 문학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 전반에 대해서 세상 돌아가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물론 신형철 자신의 본분인 문학에 대한 이야기 소외받고 있지만 굳건히 문학의 한 축을 지키고 있는 시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한국어로 시를 쓰는 사람은 많다. 별처럼 많고 별처럼 많은 이야기를 한다. 평론가의 역할은 독자의 눈에 띄지 않는 작품과 작가들을 발굴하여 독자들에게 알리는 것이리라. 개인적인 바람을 덧붙이자면 쉽게 쉽게 이야기하여 독자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자신들만의 직어정신으로 무장한 언어들을 끌어들이지 않고 쉽게 썼으면 한다.

 

사실 <느낌의 공동체>를 읽다가 보면 조금 아쉬운 것이 있는데 감질맛만 나게 썼다고 하는 말로 설명이 될지 모르겠지만 궁금증과 호기심을 슬쩍 부추겨 놓고 자세히 설명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신문 지면을 통해서 발표된 것이니만큼 지면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알고 있기 때문에 안타깝고 감질맛 나는데 사람이 참 간사한 것이 <몰락의 에티카>를 읽으면 너무 상세하고 심층적인 분석으로 기가 질린다는 것이다. <몰락의 에티카>와 <느낌의 공동체> 중간 정도의 글들을 만나 볼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