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군의 길 - 상 - 정조평전 ㅣ 성군의 길
한영우 지음 / 지식산업사 / 2017년 9월
평점 :
역사는 어렵다. 학창시절의 역사는 맥락을 무시한 단순 암기과목이었다. 정확한 연도와 사건의 명칭과 등장인물을 머릿속에 집어넣고, 그 결과 얻어진 점수가 곧 나의 역사 인식도였다. 졸업이후 역사는 현실과 괴리감을 가진 단순 과거의 사건이었고 미래만을 읊조리는 풍조 속에서 ‘과거는 과거일 뿐이다’ 라는 생각에 빠져 살았다. 하지만 시간은 순차적으로 그리고 누적되어 흘러간다. 지금 ‘나’의 모습은 과거 시간의 합이며, 지금의 대한민국 또한 과거 시간의 총합이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는 책 속에서 죽은 활자가 아닌, 현실에 물리적으로 살아 숨 쉬는 활동사진과 같다.
일반인으로서 과거를 바라보는 눈은 전문가들에 의지 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같은 사건을 너무나 많은 스펙트럼으로 바라보다 보니 다양한 생각과 의견이 넘쳐나고, 그 속에서 어느 길로 가야할 지 갈팡질팡하게 된다는 것이다. 답이 없다고는 하지만, 가끔은 전문가들이라고 하는 분들이 정확하게 결론을 내려주면 좋겠다 라는 생각도 드는게 사실이다.
‘정조’라는 인물은 영조와 사도세자를 건너뛰고는 생각할 수 없다. 당연히 정조평전임에도 절반가량은 영조와 사도세자와의 갈등을 담고 있다. ‘권력과 인간’에서는 사도세자의 성격적인 면을 문제시 하고 ‘사도세자의 고백’에서는 당쟁의 암투 속에서 사라지는 불운한 세자로 그려진 반면 이 책은 복합적인 요소들이 임오화변의 원인이라고 이야기 말한다.
“ 할 수 없이 두 살 때 세자로 책봉하고 세자궁에 보내 궁녀들에게 양육을 맡겼다. 궁녀들이 세자의 비위를 맞추고 떠받드는 데 신경을 쓴 나머지 버릇없고 전쟁놀이를 좋아하며 게으르고 자립심이 부족한 아이로 자랐다. 성격도 무인 기질을 타고났다.” p. 212-213
“세자는 점차 성격이 비뚤어지기 시작하고 지나치게 엄한 아버지에 대한 공황증과 반항심이 생겼다. 영조는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분명한 성격이어서 더욱 세자를 힘들게 했다.” p.213
궁녀들의 손에서 버릇없이 자란 것, 문치를 선호한 영조와 무인의 기질을 타고난 사도세자와의 갈등, 거기다 아버지로써 따뜻하게 보듬어 주지 못하고 문책과 꾸중만을 남발한 영조.
“다만, 영조는 당론을 일으키는 노론의 관직을 삭탈하거나 귀양 보냈다가 풀어주는 온건한 방법을 선호했지만, 과격한 성격을 지닌 세자는 피바람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영조는 늘 걱정했다...... 그래서 노론 벽파는 세자를 위험한 인물로 간주하고 세자의 비행을 수시로 임금에게 보고하면서 세자를 폐위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p.215
사도세자는 남인에 속했지만 영조의 탕평책을 충실히 따랐다. 그런데 왜 노론은 세자를 위험인물로 간주하고 폐위시킬려고 했을까? 만약 세자가 정신병이 있다면 노론만이 아닌 소론, 남인들도 충분히 위협을 느끼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세자는 18세에 정조를 얻었다. 처음에는 한없이 기뻐했으나 5세 이후로 아들의 영특함이 드러나면서 임금의 사랑과 관심이 점차 손자에게 쏠리기 시작했다....자신의 후계자를 세자가 아닌 세손으로 바꾸기로 결심하고 이를 신하들 앞에서 수시로 연명했다. 이를 알게 된 세자는 이성을 잃고 난폭한 행동으로 임금에게 저항하기 시작했다.” p.215
사도세자는 영조의 꾸중에 두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다. 영조의 정조에 대한 사랑 때문에 생긴 사도세자와 정조와의 갈등은 어디에도 없다. 또한 만약 사도세자가 정말 세손에 대한 영조의 사랑에 불안감을 느꼈다면 굳이 자살을 시도했을까? 오히려 세손을 해 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후계자에 대한 욕심이 큰 세자였다면 자기 자리만 지키면 자연스럽게 왕좌에 오르는 사람이 굳이 영조와 갈등을 일으켰을까? .....
사도세자의 죽음. 풀리지 않은 의문들. 그 속에서 살아남아 왕이 된 정조. 그는 어떤 생각으로 사도세자의 죽음과 그것을 방조한 이들을 바라봤을까? 어떤 슬픔과 분노를 안고 살아갔을까? 이 책은 그 후의 정조의 모습을 제 3자의 입장에서 계속 서술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