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래 - 거대한 변곡점, 마지막 부의 기회를 잡아라
박석중 지음 / 페이지2(page2)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부자가 되기 위함인데 대표적인 자산이 부동산과 주식이다. 부동산은 실물 자산이고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가격이 상승하다고 해서 국가 경쟁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우수한 인재들이 의대에 몰리는 것은 어느 정도 이해는 하지만 이공계 기피 현상을 보면 한국의 미래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K-Pop을 비롯한 K-Culture가 뜨고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제조업 강국이라 본다. 반도체와 자동차를 수출하여 먹고사는 나라인데 중국의 추격이 무섭다. 중국을 보며 다른 나라 제품을 베껴다가 판매하는 얌체 같은 국가라도 폄하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가 이토록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중국의 역할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인데 우리도 어느 정도 안이하게 대처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부동산 불패 신화만 믿고 종잣돈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전략이 과연 효율적인지, 국가의 경쟁력에 얼마나 뒷받침할까? 좁은 땅덩어리에서 계속 물가만 오른다면 경쟁력이 생기겠는가?


부동산과 주식의 상승률에 대해 논할 때 비교 대상이 달라서 어느 자산이 더 유리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지금 우리를 제외한 다른 선진국들은 빠르게 변화하면서 우리를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리에게 요구하는 수준이 상식을 벗어나고 있다. 그렇다고 또 다른 강대국인 중국과 가까이 지낼 수도 없는 상황이지만 외교란 원래 적절히 양다리를 잘 걸쳐야 하는 것이기에 우리 정부도 그에 발맞춰서 대응해야 한다고 본다. 우리가 0%대 성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하는데 이공계 기피 현상과 과도하게 상승한 인건비 문제 등이 엮여 있어 이미 예견된 미래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위기 속에서 성장을 하였다. 항상 위기는 있었고 그것을 극복하면서 성장해왔다. 이 시점에서 자산 포트폴리오의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나는 그것을 부동산에서 주식으로의 이동이라고 이해하였다.


세계의 패권이 이렇게 변화하고 있으니 한국은 국가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한다는 거대 담론에서 시작하여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개인이 취해야 할 행동(?) 내지는 경제의 변화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 국민 한사람 한 사람이 잘 살게 되는 것이 국가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중국의 성장에 힙입어 발전하였고 일본의 사례를 보면서 반면교사로 삼아왔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보며 반면교사가 아니라 정면교사라는 말을 하였다. 그렇게 잘나가던 일본이 몰락하는 모습을 보며 우리도 답습하지 않으려면 미리미리 준비가 필요하다. 놀랍게도 일본과 너무 닮아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다르다고 말하기도 한다. 모든 상황이 같을 수 없고 우리에게 또한 위기가 닥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면돌파를 선택하든 어떻게든 헤쳐나가야 할 것이다. AI를 비롯하여 기술혁신이 다가오고 있는데 다행히 새로운 정보는 이에 대한 대비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5000 시대를 논할 때 뜬구름 잡는 소리로 들렸지만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았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준비를 하는 자에게만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