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벌의 정석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의 과학
마틴 기발라 지음, 김노경 옮김 / 현익출판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직장 생활을 하는데 업무 특성상 퇴근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운동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주중에 여유 있게 운동을 하고 싶지만 핑계이기도 하지만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여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TV를 보면서 실내 자전거를 타는 멀티태스킹을 지향할 수도 있지만 권장하는 주 3~4회 정도 한 번에 30분 이상 땀 흘리는 운동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학창 시절 시험을 앞두고 벼락치기 공부를 하듯이 운동도 그렇게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래서 등장하는 것이 인터벌 훈련이다. 마라톤을 취미로 하게 되면서 인터벌 하면 달리기가 가장 먼저 생각이 났다. 심폐 지구력을 높여 기록은 단축하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미 시도해 보았을 것이다. 책에서는 마치 인터벌 훈련 예찬자처럼 말을 한다. 물론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부상의 위험도 높다고 본다. 많은 사람들이 대회를 앞두고 무리하게 인터벌 훈련을 하다가 불의의 부상으로 대회를 불참하는 경우도 보았는데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잘못된 훈련도 한몫했다고 본다.
책에서는 내가 생각했던 인터벌 달리기뿐 아니라 걷기, 근력운동 등에도 통용된다는 것은 놀라웠다. 아내도 건강을 위해 주 5일 이상 걷기를 하는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터벌 걷기를 한다. 자전거 타는 것도 같은 속도로 계속 타면 같은 근육만 계속 이용하므로 빠르게 느리게 지속적으로 속도를 바꾸면서 타라는 말은 들은 적이 있다. 당시에는 몰랐지만 그것이 바로 인터벌 훈련이었던 것이다. 책의 상당 부분은 인터벌의 효과에 대해 많이 할애하였다. 마치 약장수처럼 인터벌 훈련에 대해 선전을 하는데 정작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어떻게 인터벌 훈련을 하면 좋을까이다. 인터벌 훈련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독자가 과연 효과가 있을까라는 의아함을 해결하기 위해 책을 읽지는 않을 것이다. 이미 인터벌의 효과에 대해 인지하고 어떻게 훈련을 하면 좋을까라는 생각에 책을 펼쳤는데 그다지 궁금하지도 않은 과학적인 원리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페이지를 할애했다고 본다. ATP나 VO2Max를 설명해가며 효과에 대해 열심히 홍보를 하는데 굳이 이렇게 까지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좋은 점은 꼽으라면 여러 가지 인터벌 방식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고령층을 위해 달라기보다 걷기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달리기뿐 아니라 자전거 타기에도 인터벌 훈련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집에 고이 모셔둔 실내 자전거의 경우 빨래 건조대로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TV 보면서 설렁설렁 타는 것이 아니라 정말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열심히 빠르게 페달을 돌려야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같은 속도로 페달을 돌리면 좋겠지만 운동선수가 아닌 이상은 3분 정도 열심히 땀을 흘렸다가 휴식이 필요한 것이다. 책에서 가이드 한 대로 시간을 정해서 고강도 운동을 하다가 다시 저강도 훈련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면 효과는 확실할 것이다. 인터벌 훈련을 잘 활용한다면 벼락치기 공부하듯이 단 시간 내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몇 달 하다가 흐지부지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지속하는 본인의 의지가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