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심중일기 1 - 혁명이냐 죽음이냐 그의 진짜 속마음은?
유광남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른바 권문세족들이 득세하여 백성들은 먹고살기 힘들어지고 새로운 질서를 원할 때 진정 백성들이 원하는 나라를 세우겠다고 혁명을 통해 세운 나라가 조선이다. 하지만 나라 이름부터 명나라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새로운 왕을 임명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사대주의라는 미명하에 대국을 섬기었는데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도 백성보다 왕의 안위를 더 중요시하게 생각했던 임금과 위정자들이었다. 그런 왕에게 어떤 미련이 남았고 또 무엇을 원하겠는가? 조선 건립 후 200년간의 평화가 유지되다가 임진년에 발발한 왜란이 얼마나 충격이었겠는가? 왜의 침략에 대한 징후는 있었지만 당파 싸움으로 인해 나라는 분열되다시피 하였고 제대로 된 방비도 되지 않았다.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함대가 승전을 거듭하였고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으로 인하여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적잖이 당황하였다. 그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의 킨 명분 없는 전쟁에 대한 반발로 조선에 귀의한 항왜들. 그렇게 조선군은 점차 승기를 잡아갔지만 수도를 버리고 파천한 임금은 명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고 나라를 위해 노력하였다는 명분을 만들어 내기 위해 충신과 영웅을 깎아내려야 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대한 영화와 드라마가 많이 제작되어 위대한 전략과 리더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지만 죽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다만 마지막 전쟁인 노량해전 때 사망한 것 말고는. 물론 그 사실에 대해서도 자살이냐 암살이냐 말이 많다. 내가 최근에 읽은 소설에서도 고뇌하는 이순신 장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의 진정한 적이 누구인지 명백한 시점에서도 피아 식별이 되지 않아 자신의 공을 내세우기 위해 남을 깎아내리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지금의 정치판을 보더라도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애당초 인간이란 존재는 이기적이기에 당장의 위험이 사라지게 되면 다음 수를 생각하게 되는 것일까? 이런 역사적 사실과 인간 심리를 배경으로 소설은 전개된다. 해상에서 승전을 거듭할수록 자신들의 입지가 좁아지기에 나라보다 나의 안위만을 생각하는 임금과 간신들은 진정 사태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였다. 적통이 아니었기에 정통성이 부족해서 어떻게 해서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임금이었기에 더더욱 나락으로 떨어질까 두려웠는지도 모른다.

역사를 배우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말 위대한 정치인들이 있었는데 그분들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지 못한 것은 당시에는 안복이 부족한 것이었을까? 오로지 권력만을 유지하기 위해 술수를 부려야만 했던 임금과 위정자들. 그리고 진정 백성이 원하는 나라를 세우기를 원한 영웅들. 그 갈등을 소설에서 이야기하다.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만약 이랬더라면 혹은 이런 일이 실제로 벌어졌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다. 소설의 대부분은 사실이다. 옥에 갇힌 이순신 장군이 역성혁명에 대한 꿈을 꾸었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그게 끝이 아니었다. 또 다른 반전이 있었으며 역시 열린 결말로 끝이 났다. 마지 1,2권으로 끝이 나지 않고 3권으로 이어질 것처럼. 많은 독자들이 역사에 만약이란 없지만 정말 만약에 그랬더라면이라고 희망을 품는 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