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진심 - 언어의 마음을 알려주는 40가지 심리학
최정우 지음 / 밀리언서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한마디로 천 냥 빚 갚는다는 속담은 어릴 적부터 많이 들어왔다. 그만큼 말의 위력은 강한데 때로는 독이 되기도 하고 약이 되기도 하는 것이 말이다. 말은 내가 하기도 하고 또한 듣기도 해야 하므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동물과 다른 점이 정확하게 말이나 글 등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고 그로 인해 집단생활을 하면서도 문제없이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들이 요즘은 자주 이슈가 되는 듯하다. 예전보다 더 말을 많이 하고 살기 때문이라기 보다 삶에 더 여유가 생겼지만 시간은 더 부족해지고 알아야 할 것들과 봐야 할 일들이 많아져서 그럴 것이다.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해석하는 능력이 상당히 중요해졌는데 나에게 던진 한마디가 정말 나를 공격하기 위함인지 아니면 격려하기 위함인지를 알아야 한다. 반대로 말하자면 나도 누군가에게 무심코 상처를 주는 말을 하는지도 모른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하지 않는 비결은 무엇일까? 바로 공감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 보라는 것인데 책에서 말한 것처럼 '꼭 말을 해야 알아?'라고 무심코 말을 던지지만 반대로 상대방이 두루뭉술하게 말을 하면 정확히 말을 하라고 오히려 짜증을 낼 것이다. 남에게 기분 나쁘게 말을 하지 않으려면 한 가지만 지키면 된다. 바로 공감이다. 불만이나 힘든 일을 이야기할 때 해결책을 먼저 제시하려고 하지 말고 먼저 공감해 주고 그다음에 해결책을 얘기해도 충분하다. 상대방이 원하는 것은 먼저 공감해 주는 것이다. 반대로 내가 누군가에게 힘든 일을 말했을 때 '그 정도 가지고 뭘 그러냐?' '먹고사는 게 쉬운 게 어디 있냐?'라는 말을 듣는다면 꼰대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고 더 이상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책의 내용 중 3/4 정도는 공감하고 마음에 진심을 담아서 전달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나머지는 단호하게 말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물론 제목만 보면 거절을 할 때 단호하게 끊어야 하는 것에 대한 것 같지만 그 이상을 담고 있다. 즉 단호하게 말하더라도 상대방이 기분이 나쁘지 않게 말해야 하는 것이다. 친구 중에 말 버릇인지 몰라도 항상 'OO 해라' 식으로 말을 한다. 듣기에 명령조로 들려서 상당히 불쾌한 기분을 여러 번 느꼈다. 계급사회라고 하는 군대에서조차 이렇게까지 심하게 하지는 않는데 친구 사이에 이렇게 말하니 자연스레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말이 행동을 바꾸고 성격과 인생까지 바꾼다고 하는데 남에게 하는 말이 결국 돌고 돌아서 나에게 화살이 되는 것이다. 내가 이 말을 들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 보면 해결책은 쉽게 찾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