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거란전쟁 - 상 - 고려의 영웅들
길승수 지음 / 들녘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려 초기에 거란족의 공격을 받았고 서희가 외교로서 소손녕을 설득하고 강동 6주를 획득했지만 다시 침략하였고 강감찬 장군이 귀주에서 대승을 거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확히는 역사 시간에 그렇게 배웠고 시험도 유사한 방식으로 출제되었다. 귀가 닳도록 들어왔기에 역사적인 사실에 대해 개략적인 윤곽은 대체로 이해하고 있었지만 전쟁에 참가했던 장수나 병사들의 심리나 전략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삼국지나 수호지 같은 역사 소설을 보면 전쟁을 그렇게 처참하게 표현하지 않았고 모두 영웅으로 묘사한다. 사람을 죽이는 것은 마치 게임 캐릭터들을 파괴시키는 정도로 생각하였는데 직접 전쟁을 겪어보지 않았기에 느끼는 것이다. 이제는 미디어가 발달하여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들에 대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어 볼 수 있다. 그것을 보면서 게임처럼 재미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전쟁의 참혹함이나 전쟁에서 살상을 경험해 본 사람들의 트라우마도 상당할 것이다.


  고려 거란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이용하여 소설이 만들어졌고 또 이를 바탕으로 KBS에서 대하사극이 방송된다고 하여 책을 읽었다. 나와 내 가족만 죽지 않으면 가장 재미있는 것이 전쟁이라는 말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제3자의 입장일 것이다. 막상 총칼을 들고 전쟁터로 나간다면 무엇보다 두려움이 앞설 것인데 어떻게 그런 두려움을 극복하였을까? 도대체 무엇 때문에 싸워야만 했을 것이며 또 어떻게 병사들을 설득하여 죽음을 무릅쓰고 돌격 앞으로를 외칠 수 있게 하였을까? 여러 가지 의문도 들었고 과연 내가 그곳에 있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면서 책을 읽었다. 소설의 경우 서론이 길게 이어지다가 이야기로 빠져드는데 책은 거란의 침공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고려와 거란의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만으로 소설을 썼다면 그냥 흔한 역사서에 불과했을 것이다. 이런 점을 알고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시대적 배경을 먼저 소개했다. 고려를 공격하기 전에 먼저 송나라를 치고 반격을 못할 정도로 만들고 다시 고려를 공격한 것이다. 송을 완전히 굴복시키기 위해 뒤에서 공격을 할 여지가 있는 고려로부터 항복을 받아내고 중원을 통일하려는 의지였는지도 모른다.


  보통 소설이라 하면 주인공이 등장하고 또 남녀 간의 사랑이라거나 인간적인 고뇌 등을 정석처럼 다룬다. (상) 권을 다 읽었을 때 주인공은 한 명으로 요약되지 않았다. 역사소설이기에 무적처럼 보이는 영웅도 적의 공격에 어쩔 수 없이 목숨을 잃을 수밖에 없고 때로는 잔인하게 약탈하고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 포로를 고문하고 죽이기도 한다. 절개를 지키며 끝까지 항전하기도 하고 전장에서의 용맹함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전세가 기울자 바로 항복하기도 한다. 사람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이 쉽게 상상할 수 없는데 패전하는 병사들을 마구 도륙하는 모습은 과연 그 시절에는 그렇게 했을까라는 의문도 들었다. 그렇면서 지휘관들과 병사들의 심리에 대해 상당히 상세히 묘사하였다. 전쟁터에서는 나를 누군가 뒤받쳐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용감히 앞장서지만 지휘부가 무너지고 패전이 확실시되면 갑작스러운 두려움이 엄습하여 그냥 본능적으로 도망치고 마는 것이다. 지금처럼 대량 살상 무기도 발달하지 않았지만 엄청난 인명 피해를 입고 마는 것이다. 마치 사람이 많이 몰려서 압사를 당하는 것처럼.


  처음에는 고려의 승리가 이어졌기에 흥미는 덜 했고 절반은 읽을 때까지는 그렇게 빠져들지 못했다. 역시나 절반을 넘어가면서 점점 소설 속에 빠져들었고 책에서 손을 떼기가 싫어졌다. 소설은 오랜 시간을 두고 읽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에 몰아서 읽어야 하는 것일까? 결국 고려가 거란을 물리친다는 결론은 알고 있지만 과정에 대해서는 단 몇 줄로만 역사 시간에 배웠기에 계속 궁금증은 남아 있었다. 중반부를 넘어가자 읽는 것을 멈추지 못해 밥 먹고 자는 시간 말고는 책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하) 편은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증을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