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르시시스트 리더 - 왜 우리는 문제적 리더와 조직에 현혹되는가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이지혜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정치인 뿐 아니라 리더들에게 권력은 달콤한 유혹이다.
이들은 선거를 앞두고는 우리의 미래를 책임져 줄 것처럼 꿈과 희망을 불러일으키지만,
선거가 끝나면 그 권력을 통해 독재나 횡령 또는 배임으로 낙마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가 많다.
최근 세계의 경찰이라 불리는 미국 대통령에 예상치 못한 인물이 당선되었다.
빈부의 격차와 일자리 감소로 소외된 일반 서민들에게 미국 우선주의가 꿈과 희망을 준 것이다.
하지만 권력을 잡은 이후 그는 일반 대중의 소리보다는 자기만의 허상 속에 백악관에 갇혀있다.
심지어는 그를 보좌하던 사람들까지 그를 욕하며 떠나는 모습이 매스컴에 종종 보도된다.
그는 자신이 뭘 좀 아는 유일한 사람인 것처럼 행동한다.
그는 세상이 오로지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한다.
늘 최고의 조명을 받는 위치를 찾아내 사람들의 눈에 띄게 등장한다.
독선적이며 의심 많고 예측 불가능하고, 더 큰 권력욕을 보인다.
자기만족감을 높이고 자신의 지위를 다지기 위해 도덕적 인간적 규칙도 무시해버린다.
내 편이 아닌 사람은 모두 적이다! 내게 소속되려면 내가 필요로 하는 바에 맞춰야 한다.
시기심이 매우 강하며 공감 능력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다.
고함을 치고 말로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비하하고, 끊임없이 상대방의 말을 가로막는다.
그를 반대하는 사람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며, 그에게는 환호하는 이들의 대통령일 뿐이다.
이와 같은 행동을 일삼는 그는 과연 우리가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대통령인가?
군중은 쉽게 암시에 걸려들고, 그다지 합리적이지 않다.
사랑받고 선도 받길 원하는 우리의 의존성과 강력한 지도자를 향한 갈망
그리고 자신이 누군가에게 종속되어 있다는 느낌, 이런 것들이 우리로 하여금 나르시시스트 지도자를 택하게 된다.
궁지에 몰린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에 반하더라도 결국 조작하는 이의 말을 믿을 수밖에 없게 된다.
군중은 폭력을 피하기 위해 '나르시시스트'가 기대하는 바에 순응하고, 그의 반응을 예측하고 지레 복종하려 든다.
우리는 그들의 유혹으로부터 얻는 것은 나르시시즘적 욕구의 충족이며, 그 대가로 치르는 것은 굴종과 의존이다.
이렇게 폭언과 무시, 유혹으로 무장한 나르시시스트를 어떻게 대응할까?
갈등과 분열을 일삼는 이들을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 비폭력 대화법이다.
나르시시즘의 세계에서 칭찬은 영혼을 적셔주는 샘물과 같다.
칭찬은 나르시시스트에게 당신에게 호감을 품고 있으며, 무슨 일이 있어도 당신을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암시를 준다.
그들에 대해 공격을 삼가고 상대방이 인간적으로 존중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 열린 자세로 타협을 해야 한다.
우리의 목표는 복종하거나 주눅 들지 않고 올곧고 강인한 태도로 상대방과 같은 눈높이에 마주 서는 것이다.
"한 남자의 인간성을 시험하려면, 그에게 권력을 줘보라"
- 에이브러햄 링컨 -